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5대 핵심역량 키우기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때문에 단순해 보이는 발명 과정에서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습니다. 실생활에서
사용
하는 물건들의 장·단점을 고려해 새로운 물품을 개발하고 발명하면서 가장 두드러지게 증진되는 역량은 창의적 사고 역량입니다.창의적 사고 역량이란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합은 변하지 않고 보존 된다는 것이다. 운동량 보존 법칙을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사용
되는 예는 당구공의 충돌이다. 위 그림에서처럼 운동을 하는 당구공이 있다. 이때 왼쪽에 있던 당구공 A가 오른쪽의 당구공 B와 충돌하고, 충돌 뒤 두 당구공 A와 B는 진행하던 방향으로 운동을 계속한다. 두 ... ...
[헷갈린 과학] 호주의 대표 귀요미, 쿼카 VS 웜뱃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볼 수 있지요. 또 배에 육아낭을 가지고 있어요.쿼카는 먹이를 먹을 때 자그마한 앞발을
사용
하는 게 특징이에요. 주로 나뭇잎이나 풀을 먹는데, 이때 양쪽 앞발로 먹이를 꼭 쥐고 뜯어먹지요.호주의 로트네스트 섬에 사는 쿼카는 인기만점이에요. 이 섬엔 쿼카의 천적이 별로 없어서 쿼카가 다른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륵사지 석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거란 근거는 없어요.” 동탑은 1991년부터 3년만에 급하게 복원하느라 새 돌이 많이
사용
됐어요. 본래부터 있던 화강암은 35개밖에 없답니다. 나머지는 새 화강암 2000여 개로 복원했지요. 이 때문에 명지대학교 유홍준 교수는 “20세기 한국 문화재 복원 최악의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해요. 이 과정에서 이산화 타이타늄은 어떤 변화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답니다. ●촉매 : 자신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다른 화학반응을 빠르게 만드는 물질. 독일의 건축회사 ‘엘리건트 엠블리시먼츠’ 역시 이산화 타이타늄으로 건물을 감싸는 프로젝트를 진행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규칙을 추가한 ‘아핀평면 틱택토’를 소개했어요. 도허티 교수는 3×3 게임판을 그대로
사용
하면서 삼목이 만들어지는 모양을 4개 추가했지요. 원래 틱택토에서는 삼목을 만들 수 있는 모양이 가로세로 각각 3개, 대각선 2개로 총 8개 있어요. 아핀평면 틱택토에서는 아래 왼쪽에 있는 네 가지 모양도 ... ...
[과학뉴스] 멸종위기종 보호 나선 천문학자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클레어 버크 영국 리버풀 존무어스대 천체물리학과 연구원팀은 천체물리학 연구에
사용
하는 소프트웨어 ‘아스트로피(Astropy)’를 기반으로 멸종 위기 동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내용은 4월 3일 영국 리버풀에서 열린 ‘유럽천문학및우주과학주간(EWASS)’에서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굴절률이 바뀌면서 평행한 빛을 반사해 이미지를 형성하는 ‘슈렐린 이미징’ 기법을
사용
했다. 또한 소금새우가 붉은 빛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 붉은 빛만 반사하는 길이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작은 유리 조각을 넣어 소금새우의 움직임을 통제했다. 그 결과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이상의 산림이 황폐화된 것이다. 2015년 김정은 위원장이 ‘산림 복구 전투’라는 용어를
사용
했을 만큼 북한에서 산림 복구는 주요 관심사다. 특히 한반도의 토착수종인 소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솔잎혹파리 등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막는 환경친화적인 방제 기술 개발이 급선무다. 박호용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상수를 기반으로 한 단위 재정의가 승인되면 2019년 5월 20일부터는 새로운 질량 단위를
사용
하게 된다. “플랑크 상수 값을 고정해 킬로그램을 정의하면, 각 나라의 표준기관에서 플랑크 상수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킬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질량 척도의 정밀도를 높이고, 나아가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