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그래서 수학자들은 여러 방법으로 근사해를 구한다.2016년 7월, 윌리엄 쿡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를 포켓몬GO에 적용했다. 영국에 있는 2만여 개의 술집을 들르는 가장 짧은 길을 계산해 화제가 된 사람이기도 하다. 쿡 교수는 미국 신시내티에 있는 포켓스탑을 도는 ...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매듭끼리 서로 같은지 다른지 판단하는 건 매우 중요한 문제다.오승상 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3차원 구 안에 어떤 매듭을 그린 뒤, 그 매듭에 ‘덴 수술’이라는 수학적 과정을 적용하면 새로운 3차원 도형이 만들어진다”며, “위상수학에서 연구하는 어떤 도형이든 이 방법으로 만들 수 있기 ... ...
- 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남아 있던 종보다 좀 더 오래 살았지만 결국 멸종했지요.2016년 3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러셀 그라함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섬에 갇힌 털매머드들의 멸종 원인이 ‘물’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연구팀이 매머드 화석을 채취한 세인트폴 섬은 빙하기가 끝난 이후 바닷물이 들어차면서 ... ...
- Intro. 올겨울, 더 독해지고 빨라졌다! 독감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난 12월, 전국의 초등학교는 독감으로 몸살을 앓았어요. 교실에는 빈자리가 하나, 둘 늘어났고 병원은 반대로 독감에 걸린 아이들로 가득 찼죠. 3, 4일씩 앞당겨 방학에 들어간 학교도 있었답니다.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들도 1월까지 유난히 기승을 부리는 독감에 시달려야 했어요. 올겨울, ... ...
- Part 1. 학교를 강타한 독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독감 유행의 기미가 보이기 시작한 건 작년 11월 말이었어요. 11월 마지막 주에 독감으로 의심되는 환자가 1000명 당 13.3명을 기록하면서 독감 유행 기준(8.9명)을 넘어섰죠. 한 주 뒤인 12월 첫째 주에는 2배로 늘어난 34.8명, 그리고 둘째 주에는 61.8명, 셋째 주에는 86.2명을 기록하며 점차 심각해졌답니 ... ...
- Part 4. 바이러스는 변신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변화무쌍 돌연변이로 더 강력해진 독감독감은 2400년 전 고대 그리스의 의사인 히포크라테스가 언급했을 정도로 아주 오래된 질병이에요. 하지만 아직도 완벽히 막지 못해요. 왜냐하면 돌연변이가 잘 일어나기 때문이랍니다. 독감 바이러스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HA와 NA의 모양이 바뀌어요. 돌 ... ...
- [게임카페] 휙, 휙~ 요리조리 피한다! 피하기 게임 디자인 上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아이디어 싸움에서 이기는 법은?게임이라고 다 재미있는 건 아니에요. 단순한 게임이라도 아이디어가 참신하고, 스토리가 탄탄해야 플레이어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지요. 재미는 보통 게임 디자인 단계에서 결정돼요. 게임 디자인은 어떤 게임을 만들지 기획하는 일로, 게임의 모양새와 규칙, 스 ... ...
-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믿기지 않았던 경험은 아이들을 작은 세계에 매료시켰다.고양이에게 된통 당해 고생은 했지만, 모든 게 달라 보였던 세상은 경이로웠던 것이다.작은 세계에서 모험을 겪고 나니 그보다 더 작은 미시세계는 얼마나 신비로운 모습을 하고 있을지 궁금해졌다. 하지만 미시세계를 이해하려면 먼저 미시 ... ...
- Intro. "나도 좀 알아 주세요~" 억울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억울한 수학자 모두 모여라! 억울한 사연이 있는 수학자를 위해 청문회를 개최합니다. 처음에는 참석할까 말까 쭈뼛쭈뼛하던 수학자들이 마침내 참석하겠다는 답변을 보내왔어요. 어떤 억울한 사연이 있을까요? 터놓고 이야기할 수 없었던 수학자들의 숨은 이야기. 속이 뻥 뚫리는 청문회 현장에서 ...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도움으로 논문을 발표했어도 남편의 상점에서 조수로 일해야 했어요. 유럽의 대학교들이 여자 강사를 고용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독일 수학자 에미 뇌터도 대학 입학 때문에 고생했어요. 뒤늦게 학교를 다녀 교수가 됐지만 남자 교수의 눈치를 봐야 했죠.최근 여성수학자들의 활약 뒤에는 편견을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