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고유의 한선(韓船) 황포 돛단배가 복원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것. 한선은 다른 나라와 달리 용골이나 격벽에 의존하는 것이아니라, 버팀목 없이
나무
못을 사용해 튼튼한 선체외판을 절묘한 이음새로 구성하기 때문에 공기도 짧고 건조비용도 적게 먹힌다. 내년까지 9척 복원 계획 우리 고유의 배를 되살리자는 움직임이 처음 싹튼 곳은 충남 연포에 위치한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증류기의 제작과 그 응용으로 장미꽃에서 장미향료, 술에서 알콜(${C}_{2}$${H}_{5}$OH),
나무
에서 알콜(C${H}_{3}$OH)등을 얻었는데, 이는 근대 화학공업의 기초가 되었다. 오늘날 정유공장은 여기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중국의 연금술사는 불로장생을 구하였다. 이에 반하여 서양의 연금술사는 어디까지나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아니겠읍니까. 자유·평등·행복을 열매로 맺는 민주는 모두가 키워야 할
나무
입니다. 이
나무
를 우리 모두가 의무와 책임으로 건전하게 키워나가야 할 것입니다. 우리 기능대의 학생들은 그런 자질을 키워나가고 있으며 졸업후에는 산업현장에서 그 역량을 발휘해나갈 것입니다" 기계와 기름냄새 ... ...
나일강농어 거대한 물고기가 일으킨 재난 토착어류멸종, 식량자원고갈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고기를 잡아 말리려면 아프리카지역의 삼림이 크게 훼손될 수밖에 없다는것이다. 지금도
나무
들이 이 지역에서는 땔감으로 마구 잘려지고 있는 판인데 농어를 말리는데 또 잘려져야 할 판이다.여기에다 작은 고기들의 수자가 줄어들자 말라리아가 과거보다 더욱 극성을 부리기 시작했다. 작은 ... ...
첨단제품에 눈부셔 그나마 쫓아갈수 있으려면···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회사는 스윙/Ⅱ 신모델 3가지를 내놓았다.레코드 플레이어의 명문 토렌스 회사는 장미
나무
를 사용한 TD-520RW를, 로저스 회사는 종래 LS7 모델을 개량한 LS7t을 소개했다.헤이브룩(HEYBROOK)이란 모델을 발표한 ARCAM 회사는 알캄 알파 사리즈 앰플리파이어와 스피커 시스팀 그리고 레코드 플레이어 까지 ... ...
어떻게 감지하고 어떻게 적응하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휴면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바람꽃의 일종이나 구주물푸레
나무
에서 볼 수 있다.온도가 매우 이상적이며 막대한 양의 산소와 습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 익은 토마토 속의 종자가 열매속으로 싹트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종자속에 발아 억제물질이 있기 때문이다 ... ...
염료이야기 신비롭고 아름다운 색깔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키니네는 매우 중요한 의약품으로서 사실상 20세기 중엽까지 널리 쓰였다(이것은 '키나'
나무
로부터 얻고 있었다). 석탄에서 얻은 아름다운 보라색퍼킨은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실험 방법에 대해서 신중하게 검토하였다. 우선 코울타르로부터 얻은 물질의 조성이 키니네와 매우 비슷하였으므로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있어요. 김치의 용기는 강원도에서 느티
나무
독을 일반 옹기독 대신 썼는데 이렇게
나무
를 이용해보는 것도 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겠죠." 김치박물관 주영하씨의 얘기다.일본의 김치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우리 김치산업의 현대화와 상품의 고급화만 이루어진다면 사실 우리를 따라올 수 없다. ... ...
내가 본 제주도와 동해의 바닷속 새로운 발견에 황홀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펼쳐지는 절벽과 계곡에 꽉 들어찬 물꽃(연산호의 일종)과 산호 그리고 웬만한 작은 소
나무
만한 '운항'이 여기저기 버티고 있었다. 이곳을 알려 준 잠수부가 흔히 이곳을 '꽃동네'라고 부른다는 것이 정말 실감이 날 정도였다. 수심도 20m에서 36m정도여서 좋은 사진을 찍기에는 너무깊고 어두운 ... ...
생물 현장에서 익히는 생태계 학습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매미의 유충이 17년 후인 금년 여름 한꺼번에 성충이 되어 실컷 울어대다가 다시
나무
줄기끝 잎에 알을 낳고 줄기 끝을 부러뜨려 놓았던 것이다.이같은 자연현상의 변화는 곧 좋은 실습거리 돼 생물시간을 이용, 현장에 가서 매미가 유충에서 성충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배우는 것이다.지금까지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