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앞쪽으로 뻗어 있지만 조반류는 뒤쪽을 향해 뻗어 있다. 용반류는 둘째 앞발가락이 가장
길
며 움켜질 수 있는 앞발을 가진다. 용반류중 목긴공룡을 포함한 용각류의 앞발은 몸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더 커지고, 육식공룡인 수각류의 앞발은 공격용으로 다양하게 변하다 날개로 진화하기도 했다(새의 ... ...
우주에 일렁이는 파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거대한 파도가 아닐까. 용골성운은 우주공간에 가스와 먼지가 모인 거대한 덩어리다.
길
이가 무려 200광년이나 된다. 성운에 나타난 붉은 파도는 별 탄생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다.놀랍게도 용골성운은 여러 세대의 별들이 모여 있는 현장이다. 할머니별과 손자별이 함께 산다는 뜻이다. 제1세대는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M램을 소개한다.상전이 메모리(P램, Phase Change)작동원리 : 전류가 흘러 온도차이가 생
길
때 물질에 상변화(Phase Change)가 일어나 결정이나 비정질 상태로 변한다. 이 때 저항이 낮은 결정상태를 0으로(a), 저항이 높은 비정질 상태를 1로(b) 인식해 데이터를 저장.장점 :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 용량이 큼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사업가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다섯 동생들은 모두 상인으로 성공했는데 하비만 학문의
길
로 들어섰다. 16세에 케임브리지의 곤빌앤키스 칼리지에 입학해 교양과 의학을 공부했고, 이후 이탈리아의 파도바대로 유학을 가 학업을 이어갔다. 그곳에서 유명한 해부학자 파브리치우스의 가르침을 받아 16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발전한다. 건물과 도로로 복잡한 도심속 공간을 입체감 있게 보여줘 훨씬 손쉽게
길
을 찾을 수 있다. 원격 업무 시스템이 발전해 집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집에서 화상회의와 전자결재로 얼마든지 회사일을 할 수 있다.가벼운 병은 병원에 갈 필요 없이 화상 전화로 의사와 면담해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695명이 죽고 2027명이 다쳤다.지구에서 가장 넓은 폭포인 남아메리카 이과수 폭포는
길
이가 약 1320km나 된다. 비가 많이 내리는 우기에는 유량이 나이아가라 폭포의 2배나 돼 귀가 찢어지는 엄청난 소리를 낸다. 4km에 걸쳐 초승달 형태로 늘어서 있는 절벽은 275개의 크고 작은 폭포로 이뤄져 있다.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빨판이 있는 것이 흡충, 마디마디 나눠진 것이 조충이다. 일반적으로 조충이 가장
길
다. 말라리아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원충도 있다. 진드기처럼 몸 바깥에 기생하는 생물도 넓은 의미에서 기생충이다. 모두를 아울러 기생생물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기생충은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더욱 소리를 잘 모을 수 있도록 돼있다.외이도는 한쪽이 막힌 공명기와 같아서 외이도
길
이와 모양에 따라 일정 주파수(대개 2.5kHz 부근)를 증폭해 주는 역할을 한다. 마치 빈 콜라병에 입을 대고 불면 낮은 음이 크게 들리는 것과 같은 원리다.내이는 몸에서 가장 단단한 뼈로 둘러싸여 있다. 달팽이 ... ...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간편하게 일을 마무리한다.차량항법장치를 자동차에 달면 교통지옥에 빠지거나
길
을 잃을 염려가 없다. DMB 휴대전화를 켜면 버스 안에서도 월드컵 축구경기 중계를 생방송으로 볼 수 있다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신호를 전달해주는 축색돌기가 그것이다.축색돌기는 신경세포의 종류에 따라 상당히
길
수도 있는데 경우에 따라 1m를 넘는 것도 있다. 신경세포는 우리 몸에서 단연 가장 긴 세포라 할 수 있다. 이렇게 긴 세포가 한번 태어나면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세포분열을 하지 않고 평생을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