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
본인
자아
확신
자체
나
당사자
d라이브러리
"
자신
"(으)로 총 7,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세계선 뭐든 알아서 척척!
과학동아
l
200706
맞닿아 있다. 세포는 이런 유유상종의 방법을 써서 세포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고
자신
을 보호한다.두 번째 규칙이 자기조립이다. 원자나 분자는 자기조립을 통해 질서 정연하면서도 복잡한 구조를 마치 마술을 부리듯 아주 간단하게 만든다. 이 규칙만 알아내면 생명체의 비밀을 한 꺼풀 벗겨낼 수 ... ...
왜 같은 사건도 다르게 기억할까?
과학동아
l
200706
자기 위주로 내용을 각색했던 것이다. 나이서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인간의 기억은
자신
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왜곡되고 재구성된다고 해석했다.국내에서도 2008년부터 피고인이 원하면 배심원제를 채택할 수 있다. 이 글을 읽는 독자 중에도 배심원으로 재판에 참여하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단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06
‘이순지’ ‘허준’처럼 한국인 과학자의 이름을 붙였다.진정으로 밤하늘에
자신
의 이름을 남기고 싶거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별이름을 선물하고 싶다면 새로운 혜성이나 소행성을 발견해야 한다.이달의 천문현상 초저녁 서쪽하늘 밝히는 금성요즈음 해가 진 뒤 서쪽하늘을 바라보면 대단히 밝은 ... ...
투명인간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706
사람은 아니지만 물고기 중에 이와 비슷한 모습을 한 투명물고기가 있다. 천적으로부터
자신
을 보호하기 위해 몸 대부분의 굴절률이 물과 같도록 진화한‘고스트 글래스 캣피시’가 주인공이다. 이 물고기는 까만 눈과 뼈만 빼고 다른 모든 부분이 투명하다.우리 몸을 투명하게 만들기 어렵다면 ... ...
PART2 암 잡는 나노메디신
과학동아
l
200706
siRNA(small interfering RNA)란 20개 가량의 핵산으로 이뤄진 짧은 이중 가닥의 RNA다. siRNA는
자신
과 염기 서열이 상보적인 mRNA에 결합하는데, 이 과정에서 mRNA의 해독 과정을 억제해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못하도록 한다.특히 siRNA와 mRNA가 결합할 때는 siRNA 중 단 하나의 염기 서열만 달라져도 표 ...
우주에 가면'우주법'따르라
과학동아
l
200706
1995년 3월 14일 미국인으로 처음 러시아의 소유즈 우주선을 탄 노르만 타가드는 누군가
자신
이 소변을 보는 장면을 멀리서 찍고 있을지 모른다고 두려워 한 나머지 2명의 동료 러시아 우주인이 ‘의식’을 행하는 동안 그저 멀뚱히 서 있었다.미국에도 우주탐사를 떠나기 전에 치르는 전통이 있다.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06
”“그런데 왜 이 사진을 그려보려는 건가요?”래빗이 눈을 동그랗게 토끼처럼 떴다.
자신
도 그 이유를 정확히 모르는 듯했다.나는 더 이상 묻지 않고 밀실을 나왔다. 집중력이 어느 정도인가를 살필 수만 있다면 사과를 그리든지 사진을 옮기든지 상관없었다. 이왕 집중력을 실험하는 시간이라면 ... ...
명가의 숨은 명장 4人4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706
이 기원은 블록을 조립하기 시작한지 31일 만에 완성품을 내놨고 선주는 크게만족했다.
자신
의 땀과 정성이 담긴 블록이 웅장한 S자를 그리며 선박으로 탄생하는 모습을 볼때 그간의 노고를 모두 잊는다고. 오늘도 그는 침을 튀기며 후배들에게 블록의 조립 과정을 가르치는데 여념이 없다.발바닥에 ... ...
중력의 마술, 서커스 퀴담
과학동아
l
200706
가장 작은 사람이 장정 네 명이 모은 손 위에 올라가 뛰어오를 준비를 했다.긴장된 순간,
자신
의 키보다 세배나 높은 곳까지 올라갈 수 있을까하는 걱정이 무색하게 연기자는 단 한 번의 점프로 가장 꼭대기에 있는 사람의 어깨 위에 정확히 착지했다. 사람들은 환호와 함께 박수를 아끼지 않았다 ... ...
PART3 DNA로 논리 문제 풀기
과학동아
l
200706
방식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컴퓨터를 개발하려는 시도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폰 노이만
자신
도 이미 1956년 병석에서 집필한 책 ‘뇌와 컴퓨터’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컴퓨터를 고민했다. DNA 컴퓨터는 양자 컴퓨터, 신경망 컴퓨터 등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컴퓨터로 눈길을 끌고 있다.특히 DNA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