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04
만든 관성바퀴인 플라이휠을 달아줌으로써 회전 관성력을 이용해 피스톤이 맨 위나 맨
아래
에 위치한 이후에도 다음 행정으로 가는 것을 도와주고 있다. 플라이 휠의 지름과 중량을 크게 하면 보다 많은 관성력을 얻을 수 있으나 엔진의 반응이 둔해지는 단점도 있다.배기량을 Vcc, 행정을 Lcm, 보어 ... ...
치아
과학동아
l
199603
동양인보다 얼굴 폭이 좁은 서양 아동들에게 많이 나타난다.마지막으로 3급 부정교합은
아래
턱이 위턱에 비해 지나치게 앞으로 튀어나온 상태다. 이는 흔히 주걱턱이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 아동에게도 가끔 발견된다. 이 부정교합이 생기는 이유는 대부분 유전적 요인에 따른다.3급 부정교합의 ... ...
평생비서 오!K vs 오거나이저
과학동아
l
199603
달력과 해당일자의 약속내용, 기념사항을 보여준다.일별 약속계획을 선택하면 달력
아래
에 기념사항이 보인다. 여기에서 보여주는 기념사항은 원하는 바에 따라 '신상명세'에서 입력하는 방법과 '공휴일 및 기타 기념일'에서 등록하는 두가지 방법 중 각자 사용하기 편한 방법을 선택하도록 배려하고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03
매우 크기 때문에 심해환경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는 그동안 인류가 개발이라는 명목
아래
수많은 환경파괴를 자행해 왔던 것을 반성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나라가 심해저 개발에 앞서 많은 연구비를 들여 심해환경 연구에 신경을 많이 쓰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심해저 자원 어떤 것들 있나 ...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02
과학자들이 아닌 바로 자신의 지도교수(4명)였다. KAIST학생은 자기가 존경하는 과학자
아래
서 공부를 하고 있는 셈. 그 이외에도 우장춘 이휘소 장영실 하이젠베르크 호킹 등의 이름이 나왔다. 과학자 이외에서 가장 존경하는 사람으로는 부모님이 제일 많았다. 존경하는 인물이 어머니와 퀴리부인을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02
별자리가 도드라져 보인다.화면 4-3. 별자리를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 화면 오른쪽
아래
에 있는 책을 마우스로 선택해본다. 12가지 별자리가 나타날 것이다. 구중 염소자리를 눌러보자.화면 4-4. 밤하늘에 여러 개의 별이 반짝인다.화면 4-5. 깜빡이는 순서대로 마우스를 누르면 별들이 선으로 연결된다.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02
수km의 광로를 가진 레이저 간섭계의 건설을 추진했다. 미국국립과학재단(NSF)의 후원
아래
MIT와 칼텍이 공동 추진하는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LIGO(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wave Observatory)로 2억 달러 이상의 예산이 투입됐다. 이 LIGO 계획이 완성되면 중력파의 검출이 좀 더 용이해질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02
사람이다. 1904년 그는 지적장애아가 교육에 의해 지적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장애아들을 찾아내기 위해 정신과 의사인 시몬과 함께 지능검사를 고안해 냈다.그 뒤 독일의 슈테른이 '지능검사의 심리학적 방법'(1911)이란 책에서 '정신연령과 실제 연령의 비' 를 제창했다. 그것을 미국 ... ...
CD플레이어
과학동아
l
199602
안전을 위한 투명한 보호층이 있다. 물론 제일 위쪽 보호층은 레이저빔을 그대로
아래
까지 통과시킨다.CD는 트랙에 레이저빔을 투사해 그 빛이 피트와 랜드에 반사돼 나오는 각도와 반사량에 따라 0과 1의 디지털 신호를 구분한다. 즉 레이저빔이 닿은 곳이 피트이고 다음에 닿은 곳도 피트라면 ... ...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602
어느 문자든지 나타낼 수 있게 해 주는 유니코드를 운영체제가 지원하면 그 운영체제
아래
에서 돌아가는 모든 소프트웨어들도 손쉽게 여러 나라의 문자를 지원할 수 있다.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마다 각 나라용 판을 따로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거기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