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충격)에 노출된 쥐는 그렇지 않은 쥐보다 기억력 감퇴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
학술
지 ‘유럽분자생물학기구(EMBO) 저널’에 발표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경험한 쥐는 나이가 들수록 뇌에 점점 더 많은 Aβ 단백질이 쌓여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인류 화석의 게놈(유전체·생명체가 지닌 DNA 전체)을 해독하는 데 성공해 그 결과를 22일
학술
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이 기술은 친자나 조상을 확인하기 위해 하는 DNA 검사를 극도로 정밀하게 개선한 것으로, 수만 년 전 화석의 조상까지 정확히 밝힐 수 있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 소녀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것도 열생성과 관련돼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세포호흡 회로 중간물질이 신호분자
학술
지 ‘네이처’ 8월 2일자에는 갈색지방의 열생성 활성을 촉발하는 새로운 경로를 찾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갈색지방 열생성 연구의 메카인 하버드의대 산하 다나파버암연구소를 주축으로 한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부르지오날을 넣자 정자의 운동성이 커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0년이 지난 2013년
학술
지 ‘화학적 감각’에는 OR1D2가 원인불명 남성불임의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시사하는 논문이 실렸다. 즉 불임인 남성 14명과 젊은 아빠 23명을 대상으로 꽃향기가 나는 분자 세 가지를 맡게 해 냄새 강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마리(털이 주목적), 돼지가 10억 마리에 이르고 닭은 무려 190억 마리가 살고 있다. 최근
학술
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서 사람의 생물량(탄소 기준)은 6000만 톤이고 가축 포유류의 생물량은 1억 톤에 이르는 데 비해 야생 육상 포유류는 수천 종을 다 합쳐도 300만 톤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어떻게 이런 독한 음식을 먹고도 멀쩡할까. pixabay 제공 멸종위기 취약종으로 몰락
학술
지 ‘네이처 유전학’ 7월 2일자 온라인판에는 코알라 게놈을 분석해 이 물음에 답한 논문이 실렸다. 연구결과를 소개하기 전에 먼저 코알라와 그 먹이인 유칼립투스에 대해 잠깐 살펴보자. 캥거루처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조상의 독립성이 되살아난 것이라는 말이다.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지난해
학술
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는 보베리의 가설을 100여 년 만에 명쾌하게 증명한 논문이 실렸다. 호주 멜버른대 연구자들은 먼저 사람의 유전자 1만7318개를 진화의 역사에 따라 16단계로 나눴다. 즉 지구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가시 물질의 나머지 40%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은하간공간 텅 빈 건 아냐
학술
지 ‘네이처’ 6월 21일자에는 우리가 잃어버렸던 물질을 우주망의 필라멘트에서 찾은 것 같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우주망(cosmic web)이란 우주에서 물질이 3차원의 그물망 또는 거품 형태로 분포하는 모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아래는 뒤쪽으로 환상 약지와 새끼손가락을 담당한다. - ‘사이언스 로봇공학’ 제공
학술
지 ‘사이언스 로봇공학’ 6월 20일자에는 환상사지 현상을 응용해 촉감은 물론 통각(아픔)까지 느낄 수 있는 의수를 개발했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존스홉킨스의대가 주축이 된 미국과 싱가포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양성선택됐음을 보여주는 한 예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 논문이 실렸다. 지난 2월
학술
지 ‘사이언스’에는 유럽 스페인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이 그린 게 확실시되는(적어도 6만4000년 전 것으로 현생인류가 진출하기 전이므로) 동굴벽화에 대한 연구결과가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당시 언론은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