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녕
평온
안정
보장
무사
안보
안심
스페셜
"
안전
"(으)로 총 3,263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 2006~2011 코오롱생명과학 사업총괄(부사장) - 2011~현재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
성평가연구소 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전제, ... ...
“IT역량 활용해 바이오헬스산업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1.09
안전
성과 유효성에 대한 국가의 규제가 필수적이다. 의약과 의료기기 모두
안전
성과 유효성에 대한 국가 승인을 받아야 판매할 수 있고, 의료서비스 역시 국가공인자력을 갖춰야 한다. 따라서 정부의 규제정책이 산업의 육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차 정책관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는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기증절차를 최대한 간소화 시키고, 일반시민이 함께 ‘검체기증이
안전
하고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이라는 인식을 갖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수술 후 검체기증 하는 걸 헌혈처럼 부담 없이 생각해 주면 좋겠습니다. 혈액에서도 유전자 정보는 얼마든지 뽑아낼 수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바이오화학으로 생산되는 제품은 대개 소모품이기 때문에 제품의 순환이 빠르고
안전
성에 대한 절차도 의약품보다 단순하다. 정 본부장은 “현재 석유화학산업의 절반만 바이오화학산업으로 대체돼도 시장이 어마어마하게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바이오화학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 ...
삼성, 글로벌 바이오 전시회에 단독 부스로 참가
동아사이언스
l
2011.06.29
브랜드로 밀어붙이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대표는 “미국식품의약품
안전
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의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시키는 생산능력을 갖도록 공장을 짓고 있다”며 “이후에는 자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와 혁신신약까지 이 공장에서 생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국토의 64%는 산림, 생명과학 연구의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10.05.25
산림과학원에서 이목 작업에 도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산림에 도입한 LMO 임목에의
안전
성 검사를 체계적으로 실시해 사막화 방지 등에 이용할 자원 개발 등을 공동으로 수행한다. 생명연 뿐 아니라 국립환경과학원과는 LMO 임목의 환경영향 평가를 공동으로 연구한다. 정 청장은 “각 기관의 ... ...
“신약 개발, 미국의 위기가 한국의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0.05.20
접합할 수 있는 약물인 ‘컴파운드’를 만든다. 약물을 만들면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
성을 검증한다. 이중 중국 제약회사를 활용할 수 있는 단계는 ‘컴파운드를 만들 때’와 ‘임상시험을 할 때’다. 컴파운드를 만들 때는 작은 분자를 접합할 수 있는 ‘중간체’가 필요하다. 중간체는 특정 ... ...
“실패한 연구, 발상 바꿨더니 럭키 드러그”
동아사이언스
l
2010.04.13
그는 바이오시밀러 분야를 대표적인 사례로 꼽았다. 바이오시밀러는 이미 시장에 출시돼
안전
성과 유효성이 검증된 단백질 의약품을 복제하는 개념이다. 우리나라는 우수한 인력과 시장이 있어 글로벌 기업과 경쟁이 가능하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단 영세한 규모로는 경쟁하기 힘들다는 것이 ... ...
“신약 1g 가격 순금의 6만배”
동아사이언스
l
2010.03.23
대한약학회 학술위원장 2003년 7월 ~ 현재 한국인간프로테옴기구 감사 2003년 7월 ~ 한국식품
안전
성학회 편집위원장 2009년 1월 ~ 현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원장 2009년 1월 ~ 현재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학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어민들이 양식하는 수산 자원을 육종하기 때문에 신경 써야 할 일이 많다. 식품
안전
은 물론 겉보기에 인공적인 요소가 들어가면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경우가 많아 가능한 자연 그대로의 교배를 시키고 키운다. 무조건 빨리 키우거나 새로운 형질을 만드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는 의미다. 임 원장은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