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하우
비결
비법
노우하우
기술
뉴스
"
기술정보
"(으)로 총 10,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위성 지구관측에 돈이 몰리고 있다
2022.04.29
카펠라스페이스 제공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스페이스X와 같은 민간 우주기업이 성장하는 사업 환경이 조성될 것이란 전문가들의 의견이 많다. 당장 발사체만 해도 미국 주도로 러시아에 대한 제재가 이뤄지면서 러시아 발사체가 우주시장에서 '일시' 퇴출된 상황이다. 러시아 발사체 ... ...
[과학게시판]전기차 폐배터리에서 고순도 희소금속 재활용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29
단체의 장이 할 수 있으며, 올해 심사대상자는 오는 6월 30일까지 신청받는다. ■과학
기술정보
통신부는 28일 필리핀 과학기술부와 제1차 한-필리핀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화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김성규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과 레아 부엔디아 필리핀 과학기술부 국제협력국장이 ... ...
인수위 "바이오 기술에 AI·데이터 접목해 신약 개발 1년내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4.28
남기태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학기술교육분과 인수위원이 28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바이오 대전환을 위한 디지털 바이오 육성'과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 전략 마련'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연합뉴스 제공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28일 새 정부 ... ...
정확한 정보 제공하는 ‘사이언스 미디어센터’ 왜 필요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4.28
한국과학기자협회가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한국형 사이언스미디어센터 설립’을 주제로 한 과학언론이슈 토론회를 29일 오전 10시부터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온라인 생중계(https://youtu.be/e4aLG72I2G8)되는 이번 토론회에서 톰 쉘든 영국 사이언스미디어센터 언론담당책임자 ... ...
짙은 안개 껴도 사람·사물 뚜렷이 식별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28
곽수하 포스텍 교수팀이 안개 낀 영상에서도 주변 사물을 명확히 구분하는 영상인식 AI 학습법을 개발했다. 사진은 안개 낀 영상(a)을 새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AI(b)로 분석해 주변 사물을 의미적으로 분할한 모습이다. 실제 정답(c)과 유사한 결과를 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포스텍 제공 자율주행차와 ... ...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 12월부터 본격 운영…1호 위성 6월 발사
연합뉴스
l
2022.04.28
준비 방안, 향후 기술개발 로드맵 등을 논의했다. 이 위원회에는 국토부 주관으로 과학
기술정보
통신부·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한국항공우주연구원·한국교통연구원·건국대·국민대·대한항공 등의 위성항법 분야 전문가 15인 내외가 참여한다. KASS는 현재 17∼37m ... ...
[탄소중립 연속기고]지역은 어떻게 탄소중립을 실천해야 할까
2022.04.28
문승현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구환경공학부 교수(초빙석학) 사람들에게 ‘2050 탄소중립은 가능한가'라고 물으면 흔히 돌아오는 답은 두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런 저런 이유로 불가능하다는 답이 하나,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해야한다는 답이 그것이다. 안타깝게도 '쉽게 가능하다'는 답은 듣기 ... ...
[기고]지금은 '유리의 시대' 혁신은 계속 된다
2022.04.28
이수봉 코닝 한국지역 총괄 사장·코닝정밀소재 대표이사 사장 올해는 유엔이 지정한 ‘세계 유리의 해(International Year of Glass)’이다. 유엔은 기초 과학의 인류에 대한 기여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다양한 분야를 선정해 기념하고 있는데 올해는 유리를 선정했다.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물 ... ...
[과기원은 지금]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비전력 30% 줄였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28
박병국(왼쪽)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이경진 물리학과 교수. KAIST 제공 ■KAIST는 27일 박병국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이경진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초고속 자성메모리’의 에너지 소비 전력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초고속 자성메모리는 빠르게 동작하며 외부 전원 공급이 없는 상 ... ...
지구로 떨어진 운석에서 생명체 정보 구성하는 염기 모두 발견돼
동아사이언스
l
2022.04.27
운석으로부터 DNA와 RNA를 이루는 물질 중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시토신(C)과 티민(T) 염기가 확인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제공 운석에서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담는 DNA와 리보핵산(RNA)와 같은 핵산을 구성하는 5개 염기가 모두 확인됐다. 지금까지는 아데닌(A)과 구아닌(G),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