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7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체에 안전하면서 강력한 살균수는 없다
2021.02.03
소비자의 약한 마음을 노린 엉터리 광고다. 다행히 소비자원이 전해수기의 살균
기능
이 보잘 것 없고, ‘99.9% 살균’이라는 광고도 믿을 것은 아니라고 확실하게 밝혀주었다. 소비자를 지켜줘야 할 식약처・소비자원・국가기술표준원이 언제나 뒷북만 치고 현실이 안타깝다. 결국 소비자가 ‘인체에 ... ...
얼음, 폐수 속 독 삼키고 약 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확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얼음의 특별한 반응이 확인된 것”이라며 “얼음의 정화
기능
이 다른 물질에서도 작동하는지 연구대상을 확대해 확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환경과학 및 기술’에 표지논문으로 발표됐다. 극지연구소 제공 ... ...
돼지 이어 원숭이 뇌에 칩 심은 일론 머스크, 생각으로 게임하는 원숭이 곧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이 새로운 기술이 뇌와 척추 부상을 해결하고 뇌에 이식된 칩으로 사람들의 잃어버린 뇌
기능
을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론 머스크는 2017년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뉴럴링크의 존재를 처음 공개하면서 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인간의 두뇌 능력을 끌어올리는 기술을 ... ...
[랩큐멘터리]붙이고 출력해서 만드는 맞춤형 인공장기의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활용하기도 한다. 바이오가공기술 연구실은 인체 조직이나 장기를 대체할 수 있는
기능
성 조직을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바이오가공기술 연구실은 바이오 프린팅 연구에 필요한 가장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 미래 의료산업에 직접 적용할 기술을 연구하면서 인공장기 생산으로 ... ...
“항체치료제 '기적의 약' 아냐"..."변이 등장했는데 집단면역 목표 조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당연히 효과가 없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방 센터장은 중화항체의 ‘역
기능
’도 강조했다. 그는 “중화항체는 바이러스의 증식만 막는 게 아니라 거꾸로 바이러스의 침입을 돕기도 하는데, 이를 항체에 의한 감염 증가 효과라고 부른다”며 “중화항체 기반 항체치료제의 이런 ... ...
[과학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지구과학코너 개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이번 개발로 차세대 반도체의 높은 품질 유지와 수율 확보에 필수적인 첨단분석
기능
을 제공해 미국 등 해외 수입에 의존하던 반도체 장비용 센서 부품의 국산 대체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다른 사람의 불행에서 안도감을 느끼는 심리
2021.01.30
물론 하향비교를 통해 자신보다 상황이 나쁜 사람을 생각함으로써, 예컨대 ‘공감’의
기능
처럼 기부나 봉사 같은 친사회적인 행동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을 거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하향비교의 목적은 타인의 불행을 바라보고 타인의 아픔을 줄이는 것에 포커스를 타인에 두는 것이 아니라 ... ...
인류 발달 토대 엄지손가락 진화 약 200만년 전 이뤄져
연합뉴스
l
2021.01.29
초기 사람속 화석서 현대인과 비슷한
기능
확인 최초 도구 사용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침팬지 수준 그쳐 [Professor Katerina Harvati, Dr. Alexandros Karakostis, and Dr. Daniel Haeufle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인류 발달 역사에서 엄지손가락의 진화는 일대 전환점으로 여겨지고 있다. 엄지손가락이 다른 손가락과 ... ...
동물 행동 조종하는 ‘뇌세포 리모컨’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활성을 제어해 뇌
기능
을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뇌에 칩을 직접 이식하지 않고 뇌의
기능
을 조절할 수 있어 뇌 과학과 의학 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연구단 천진우 단장과 이재현 연구위원은 28일 자기장에 반응하는 나노미터(㎚·1 ... ...
인공 뇌 신경회로 분석할 3D 전극시스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있다”고 말했다. 시스템을 활용하면 복잡한 인공 뇌 회로망 속에서 뇌 회로가 어떻게
기능
적으로 연결됐는지를 보여줄 3차원 뇌지도를 작성할 수 있으리란 기대다. 이를 이용하면 다양한 뇌 질환 모델을 만들고 뇌 회로를 제어해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조 책임연구원은 “구조적 변화 뿐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