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수직 이착륙기 풍동실험장 완성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세계에서 가장 큰 단면 12m X 24m의 실험설비가 있어 1944년 부터 5백종 이상의
항공
기를 시험했다. 이번에 이 설비를 개량하여 그야말로 세계최대인 24m X 36m의 새 풍동을 7년만에 완성한 것이다. 풍동은 2개인데 공기를 불어내는 팬은 한곳뿐인 것이 특색이다. 그림처럼 12 X 24의 풍동을 사용할때는 공기가 ... ...
원주율계산의 세계신기록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계산능력을 가진다. 복잡한 과학기술 계산을 처리하기 위해 개발되어 일기예보나 원자로
항공
우주분야의 시뮬레이션(모의실험)등에 쓰이고 있다.미국 크레이 리서치사는 제품이 유명하나 일본의 히다치 후지츠 일본전기 3사도 이 분야에 뛰어들어 경쟁을 벌이고 있다.원주율 산출에서는 1986년에 ... ...
유인 우주비행을 목표로 한 중공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이유는 재정상의 문제로 보인다. 그 뒤 중공은 무인의 우주개발을 추진하면서 우주
항공
학회간부는 유인우주비행에 부정적이었다. 그런데 그뒤 1986년 8월 31일자의 인민일보 해외판이 돌연히 우주공간 모의시설에서 훈련을 재개한다고 보도했다. 그리고 유인우주선안의 환경제어나 우주복, 우주식 ... ...
컴퓨터에 바이러스가 있다니!? 대형 전산시스팀이 한시간만에 파괴되고…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가장 악독한 발병은 개인용 컴퓨터에서였다. 그러나 보안전문가들은 가장 위험한 경우는
항공
관제시스팀이나 국가세무를 관리하는 대형 컴퓨터가 감염되는 경우라고 지적한다. "기본법칙은 정보가 가는 곳에 바이러스도 따라 갈 수 있다는 것이다." 1983년이래 컴퓨터 바이러스의 위험성에 ... ...
핵군비 확산의 주역 군산복합체 주요 대기업과 명문대학 망라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연구단체와 각종 두뇌집단(think tank)가 학(學)을 이룬다는 것이다. 방위산업집단은
항공
우주관련기업과 전자공업기업을 정점으로 조선·기계·에너지·원자력기업 등으로 편성돼 있는데, 여기에는 미국의 '포쳔'지가 매년 선정하는 미국의 1백 대 기업이 거의 망라돼 있다. 이들의 국방부에 대한 ... ...
기계공학은 현대문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전기냉장고 등) 통신기 전자기기 등으로, 또 수송기계는 자동차 산업차량 철도차량 선박
항공
기 등으로, 정밀기계는 광학기계 시계 등으로 나뉘어진다.●- 설계와 제조에 큰 비중기계공학은 이렇듯 광범한 기계산업의 발전을 뒷받침하는 학문이니만큼 그 다루는 내용도 매우 광범하다. 기계의 ... ...
북극 그 자연과 이용가능성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동쪽의 브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소련의 북극해 항로 등이 대표적인 수송로이다.
항공
기나 선박에 의한 환경오염, 소수민족, 영토권 문제 등을 해결하면 북극권은 인류의 새로운 프런티어로 될 수 있을 것이다.미국에서는 최근 몇년동안에 북극연구열이 급속히 높아가고 있다. 1984년 레이건 대통령이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사람은 사람보다 큰 로킷의 포효하는 소리를 멀리서 부터 들을 수 있다. 독일우주
항공
여행실험연구소의 실험장에있는 이 로킷은 9백℃의 뜨거운 수증기를 뿜어대고 있다. 이 기계장치는 오직 산소와 수소로만 작동되며 고온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 기계장치는 이 기계와 ... ...
유도제어 우주비행의 핵심적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제임스무린' 장군의 말처럼 끊임없이 노력하고 사고하면 우리나라도 현대과학의 총아인
항공
우주공학의 선두에 나설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 ...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새로운 태양계 행성 「험프리」 10번째 태양계 행성존재설을 처음 발표한것은 NASA(미
항공
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JPL)의 '존 앤더슨'박사. 앤더슨 박사는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를 1백50년 전 까지 거슬러 올라가 살펴본바 궤도가 일정하지 않고 약간 어긋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이 궤도가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