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훨씬 줄일 수 있다.한편 차세대 DNA칩을 개발하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현재의 DNA칩은
주로
형광물질을 붙여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칩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경제성도 낮다. 정 교수팀은 DNA가닥을 탄소나노튜브에 붙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 나노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과학자들이 뇌의 특정 부위와 기능을 연구해 ‘뇌지도’를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좌뇌는
주로
언어능력에 우뇌는 시각능력에 관여한다.그럼에도 대부분의 정보는 좌뇌와 우뇌의 협력 속에서만 제대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뇌가 언어를 담당한다고 해서 우뇌의 역할이 전혀 없는 것은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식품에 변질 또는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 · 효소 등을 사멸 또는 불활화시키는 처치
주로
식품저장에 이용한다 식품의 방사선 조사는 목적에 따라 저선량조사 · 중선량조사 · 고선량조사로 나눈다방사선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생명현상을 해명하려는 생물학의 한 분과 이런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슈퍼사이즈미’가 가세했다. 환경단체 간사인 윤광용 씨가 맥도날드와 롯데리아 메뉴를
주로
먹으며 비슷한 체험을 시도했다. 그는 애초 예정했던 30일을 채우지 못하고 건강상의 문제로 24일만에 중단했다. 체중이 3.4kg, 체지방은 5.2kg 증가한 것 외에 간수치(GPT)가 3배 이상 높아졌기 때문이다. ... ...
아프리카에서 겨울나는 붉은등때까치 국내 첫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시베리아에서
주로
번식하고 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보내는 ‘붉은등때까치’ 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달 16일 전남 신안군의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인 홍도에서 때까치과인 붉은등때까치 새끼 한 마리를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붉은등때까치는 영어 이름인 ‘Red-backed ... ...
2156년 올림픽 여자가 남자보다 빠를까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1백m에서 마라톤(42.195km)까지 선수들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
주로
탄수화물을 태운다. 그러나 이 거리를 넘어서면 탄수화물보다 지방을 많이 태워 에너지를 얻는 효율이 높은 쪽이 유리하다. 몸 안에 탄수화물보다 지방을 더 많이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장거리에서 여자가 남자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딱 걸린다. 이 함정이 ‘어살’이다.요즘처럼 어업기술이 발달하지 못해 우리 어업이
주로
연근해 어장에서 이뤄지던 시절, 어찌 보면 원시적이랄 수 있는 이 어살이야말로 조수간만을 따라 회유해 들어오는 고기떼를 한번에 다량 포획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였다. 그러기에 “좋은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자신이 반응을 촉진시키는 특정 성분하고만 결합해 반응을 진행시킨다.수용체는
주로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생체분자로서, 자신이 담당하는 특정분자와 결합해 세포내로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그 분자의 존재를 세포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한편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자신과 상보적인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달한다. 불곰보다 30%나 큰 동굴 곰은 남부 유럽에서 번성한 동물이다. 풀, 산딸기, 꿀을
주로
먹었다. 오스트리아의 한 동굴에서는 동굴 곰 화석이 한꺼번에 3만여개나 나온 적이 있는데 집단으로 겨울잠을 자다 죽은 것으로 보인다.사자의 조상인 동굴 사자는 1만5천년전에 멸종했다. 유라시아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없다. 표면과학은 신소재, 나노 측정 분야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신소재 제작 공정이
주로
표면의 수nm 아래에 있는 원자와의 반응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당구대 위에 당구공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줄 놓여있다고 하자. 여기에 다른 당구공을 치면 어디선가 맞고 튕겨나온다. 마찬가지로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