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제18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분석해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한 발표 자료다.이를 만들기 위해 우선 평소에 궁금했던
점
을 주제로 선정해야 한다. 작년 출품작 중 한 예를 들자면 ‘영어단어 암기 노하우’가 있다. 이것은 친구들의 다양한 단어 암기법을 조사해 단어를 재미있고 빠르게 외울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제어했기 때문인지 혹은 예상치 못한 다른 변수 때문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이런
점
에서 유전자와 변수를 최소화한 Syn3.0(정리된 서고)은 합성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하고 구현하는 데 아주 적합한 생물이다. 이 센터장은 “살 수만 있다면 Syn3.0은 직접 구입해서 실험해 보고 싶을 정도로 탐나는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마구잡이로 채취하면 언젠가는 책에서나 볼 수 있는 생물이 되고 말 거예요.지의류의 약
점
은 하나 더 있어요. 바로 대기오염에 매우 약하다는 거예요. 지의류는 뿌리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몸 전체로 수분과 가스를 교환해요. 이 때문에 대기의 오염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지요. 특히 조류는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뫼비우스 띠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식물이 자라는 것처럼 작은 뫼비우스 띠 하나가
점
차 커지도록 크고 작은 뫼비우스 띠 여러 개를 만들어 엮고 있지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제가 의도치 않았던 토러스가 다양하게 생긴다는 거예요.”김주현 작가의 작품에 위상수학이 파고든 건 2008년부터다.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수학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그 근거로 우선 인공지능 아버지가 수학자라는
점
을 들 수가 있습니다. 인공지능에 대한 생각을 처음 한 앨런 튜링은 정수론과 수리논리학, 확률론과 암호학에 능한 수학자였습니다. 그는 프로그램에 어떤 요소를 도입하면 컴퓨터가 사람과 같은 생각을 할 수 있다고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제발 누가 나 대신 좀 풀어줬으면…, 흑.”단이 앞으로 나섰다.“제가 할게요.
점
과 선으로 도식화해서 한붓그리기를 하면 된다는 거죠?”단은 섬과 다리의 배치를 보며 한참 궁리하다가 걸음을 내딛었다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_다시 보는 원주율과 원의 넓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원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컴퍼스로 찍은
점
을 원의 중심, 원의 중심에서 원 위에 있는 한
점
까지의 거리를 원의 반지름이라고 합니다. 한 원에서 반지름의 길이는 모두 같기 때문에 원 모양이 둥근 것이고, 바퀴나 굴렁쇠, 훌라후프가 잘 굴러가는 이유는 원의 중심에서 땅에 이르는 거리(반지름)가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중 인건비 비중이 굉장히 높습니다.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그에 맞춰 인건비가 높아지는
점
도 한국과 다릅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비정규직 과학자, 벼랑끝에 서다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통해 회로를 구성한 건 아니지만, 유전자를 인공적으로 합성해 작품을 만들었다는
점
에서 합성생물학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이 작품은 ‘인간이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집짐승과 온갖 들짐승, 땅을 기어다니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는 창세기 1장 26절의 구절을 모스 부호로 바꾼 뒤 이를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돼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하는 데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게 됐다. 메기에시 박사가 만든
점
수체계와 방정식을 개선·보완한 논문이 2005년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