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대입 입학사정관제 2만 695명 선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www.scientorium.go.kr)은 여름방학을 맞아 특별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매주 수요일 열리는 ‘
자연
사 체험교실’과 천체투영관에서 매주 토요일 열리는 ‘한여름밤의 별음악회’를 비롯해 ‘곤충 표본 만들기’ ‘세밀화로 보는 희귀식물 특별전’ ‘댄스로봇대회’ 등 다채로운 여름방학 특별체험 ... ...
귀신 보는 사람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뇌를 가진 사람이 보통 사람과 다른 존재를 느낀다는 것.하지만 일식이나 태풍 같은
자연
현상도 과거에는 도무지 이유를 알 수 없는 ‘신의 영역’이었던 것처럼 언젠가는 귀신을 보는 현상도 좀 더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그날이 기대되지만 한편으론 그때는 무엇으로 이 ... ...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아기를 만들 수 있고, 유전자 치료를 통해서 불치병을 극복할 수 있다.지금까지 인류는
자연
과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해 왔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인류는 자신의 진화를 스스로 통제할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기술적으로 얼마든지 실현할 수 있는 단계에 와 있다. 생명의 비밀을 간직한 DNA 암호를 ... ...
오염 비켜! 로봇 물고기 나가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본 뜬 모양으로, 실제 물고기처럼 움직인답니다.아하~. 그래서 실제 물고기처럼 움직임이
자연
스러웠군요. 그런데 로봇이라면…, 조종은 누가 하는 거죠? 혹시 사람이 타고 있나요?아니에요. 저는 기존 로봇 물고기와 달리 인공지능과 내비게이션이 달려 있어 사람의 지시 없이 스스로 움직일 수 ... ...
조물조물~ 내 손으로 만드는
자연
의 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않았니? 그 자체로도 아름답지만 우리가 쓰는 물건에도 고스란히 고운 색을 선사하는
자연
이 새삼 고맙게 느껴졌어.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천연염색에 꼭 한번 도전해 봐. 고운 빛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다 보면, 마음까지 곱게 물들 거야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건축은
자연
그대로 아름답답니다.이제 안심하고 이 비버 건축가에게 의뢰해 주세요.
자연
을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편안하고 안전하고 아름다운 집을 지어 드릴 테니까요.얘기해 보세요. 손님이 꿈꾸는 집은 과연 어떤 집인가요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몸집의 늑대보다 뇌 용적이 30% 정도 줄어들어 있다. 결국 뇌가 작아지는 현상 역시
자연
선택의 하나일 뿐이다.리버만 교수는 “지금까지는 나를 포함해 많은 과학자들이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에 대한 논쟁을 지켜보며 형세를 관망해 왔다”며 “이제 우리는 확실한 증거를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 ...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적외선부터 자외선까지 넓어서 같은 색이라도 형광램프를 썼을 때보다 빛이 부드럽고
자연
스럽다. 또 LED에서 나오는 빛은 순도가 높아 화면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선명하게 표현하는 데도 유리하다. LED 광원은 형광램프처럼 수은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친화적이다. 이처럼 ... ...
[입학사정관제] 면접과 토론으로 준비된 나를 어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말고 순발력을 발휘해 재치있게 넘겨야 한다”고 조언했다.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건국대
자연
과학부에 합격한 K양은 1박 2일 합숙 면접에서 “이효리와 빅뱅과 서태지 중 누가 가장 인기가 많냐”는 질문을 받았다. K양은 “세상의 절반이 남자이므로 이효리가 가장 인기 있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 ...
하늘에서 내리는 생명수 ‘빗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책은 노화에 대한 기존의 생각을 뒤집는다. 저자는 노화를 피하려고 하기보다는 노화를
자연
스럽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자고 말한다. 이른바 ‘웰에이징’이다. 실제로 85세 이상의 노인 가운데 노화로 생활에 큰 불편을 겪는 이들은 3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서울대 의대 생화학 교수이자 서울대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