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정
선발
채택
발탁
취사
발췌
채용
d라이브러리
"
선택
"(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있다면 발효산업이 획기적으로 발달할 것이다. 그런데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잘
선택
해 게놈을 분석하면 이런 일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드넓은 바다를 순식간에 붉게 만드는, 즉 적조를 일으키는 조류가 좋은 후보다. 이 조류는 탄소에너지 없이도 왕성하게 증식하는 특성을 가진다. ... ...
인터넷PC 꼼꼼 분석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PC통신 동호회 등에서 문제점을 지적할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점이 많은 업체의 제품도
선택
하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시간이 흐르면 제품 자체가 부실하거나 사후 서비스에 문제가 있는 기업은 도태될 것이 틀림없기 때문이다.한가지 더. 무조건 애프터서비스를 잘 해주겠다고 말하는 업체는 조심할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내일의 의상을
선택
하는 것에서부터 우주선 발사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기예보의 소비자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일기예보가 공급되는지 살펴보자.내일 저녁부터는 쌀쌀해져서 주말엔 예년 기온보다 떨어지겠습니다. 내일 중부 지방은 비올 확률이 20%로 비교적 맑겠으나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생물이 죽는 모습은 인간에게 숙연함을 안겨준다. 집단의 생존을 위해 스스로 죽음을
선택
하는 레밍쥐가 대표적인 사례다.유행에 예민해서 맹목으로 남을 따라 행동하는 일을 레밍효과(lemming effect)라 한다. 여기서 ‘레밍’은 다리가 짧고 작은 귀에 부드럽고 긴 털을 가진 설치류 레밍쥐에서 따온 ... ...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별들이 희미하게 보일 때까지 계속 관측을 하는 것이 좋다.어떻게 관찰할까?■ 장소
선택
11월 18일은 목요일이라 회사나 학교로 가야하기 때문에 멀리 야외로 나가기가 어려울 것이다. 도시지역에서는, 아파트의 옥상, 집에서 가까운 공원과 운동장이나 동쪽 하늘이 트여있고 가로등이 적은 곳 등이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맞기 마련이다. 그러나 그녀는 아프리카와 아랍권의 역사와 정치를 연구하는 비과학도를
선택
했다.호지킨은 옥스퍼드대학에서 X선 결정학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 윌리엄 블랙의 지도를 받아 X선 해석에 있어서 1인자가 됐다. 그녀는 1934년 X선 회절법을 이용해 최초로 단백질 결정 사진을 찍는데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아빠와 함께 하는 과학마술77(고토 미치오 지음, 아카데미 서적 발행)중에 흥미로운 것을
선택
하고 재구성해 보여준다.① 자동으로 멈추는 사이다 병사이다병을 컵 속에 완전히 거꾸로 세워 따라보자. 사이다가 컵에서 넘칠까.■왜 그럴까?대기압이 컵의 수면에 작용해 생기는 일이다. 페트병 속에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유난히 큰 사람이 등장하면 상황에 따라 두가지 일이 벌어진다. 그 사람이 자연적으로
선택
돼 몇세대 후 키 집단 구성원이 모두 큰 사람들로 바뀌거나, 반대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태돼 사라지는 일이다.그런데 현대 유전공학은 이 자연적인 흐름에 종지부를 찍을지 모른다. 인간이 직접 ... ...
1. 사랑의 묘약, 냄새와 호르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냄새에 대한 취향 등 생물학적인 궁합은 고려하지 않고 겉모습에만 치중하는 배우자
선택
방식 때문에 파경이 증가하고 있지는 않은지 심각하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세월이 지나면 가장 먼저 시각적인 아름다움이, 다음 후각적인 매력이 사라진다. 독서와 생활에서의 경험으로 다듬어진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또는 심신이 건강한 것일까? 심성이 착한 것일까? 이런 다양한 결과 가운데에서 무엇을
선택
해 평가해야 하는지가 분명하지 않다.이런 이유들 때문에 같은 실험에 대한 같은 결과, 즉 ‘재현성’(再現性)이 실현되기 어렵다. 태교가 과학으로 입증되려면 여러 임신부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