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표적
대상
과녁
대상물
제목
문제
d라이브러리
"
목표
"(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수행해왔으나 장비의 열세로 조사범위가 연근해에 국한됐다. 그러나 내년초 완공을
목표
로 현재 노르웨이 미엘렘 칼센조선소에서 건조중인 종합해양조사선 온누리호(1천3백t급)가 확보되면 우리나라 연안은 물론 주변 심해까지도 해양조사가 가능해진다.온누리호는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등 선진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하이퍼텍스와 하이퍼미디어를 연상하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물론 하이퍼미디어 이상의
목표
를 추구하지만.이상 12개 연구실에서 약 60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미디어 연구소 이외에 어느 연구소가 얼마 안되는 연구진을 가지고 이처럼 다양한 연구를, 다양한 스폰서의 지원을 받아 행하고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경통을 고정시킨 방식으로, 최근 슈미트-카세그레인망원경이 이 방식을 택하고 있다.
목표
하는 천체를 쉽게 시야속으로 넣을 수 있고 무게도 가벼우나 진동과 균형 맞추기가 독일식보다 어렵다.이 모든 것을 종합해 천체의 종류별로 망원경을 선택해보면 달과 행성에 관심이 많은 초보자는 4인치 ... ...
80년대 통폐합소동 되풀이 말아야 정부출연연구소, 존폐위기에 섰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단절 등 경제적 측면에서 결정될 일이 아니라 우리가 지향하는 장기적 사회
목표
에 더 크게 좌우될 성격의 일이다. 따라서 본격적 투자가 시작될 때까지 국내에서 출연연구소들의 입지는 확고하다고 생각된다.뚜렷한 대안도 없이 기존 연구체제를 뿌리째 뒤흔들었던 80년대초 출연연구소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지키는 젊은이들이 있음을 확신한다. 수백 ㎞밖에서 쏜 폭탄이 수m이내의 오차로
목표
물에 명중하도록 유도하는 적외선 사진기 등 과학기술 선진국 학생들이 갖고 있는 거대기기 중 그 무엇도 제대로 갖춘 것이 없지만 우리 젊은이들은 오직 불타는 정열과 진리에 대한 사랑으로 밤잠을 설치며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세계로의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도 2000년대에는 세계 7위권의 기술선진국 진입을
목표
로 설정하고 과학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만큼 초정밀 측정 및 초정밀 가공기술등에 대해서도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연구개발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양자홀 효과 특수반도체 소자에서 홀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학문에 대해 말하고 있지만, 그것은 결코 지식인의 이해를 구하고 있지 않다. 그들의
목표
는 보다 하부 구조에 있는 다수의 대중을 지향하는 것이다.이와같은 대표적인 인물들로 조지 아담스키, 클로드 보리롱, 빌리 마이어 등이 있으며, 이들의 이야기는 국내에 UFO와 우주법칙(고려원), 우주인을 ... ...
정보화시대의 기술인력 기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실업계 고교비율을 95년까지 50대50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좁은 대학문만을
목표
로 해 결국 많은 고교졸업생들이 뚜렷한 전문기술 하나 없이 사회에 배출되는 모순을 바로 잡아보자는 듯으로 해석된다. 또 당시 한국산업정보원이 국내 2백84개 컴퓨터사용기업(마이크로급 이상)을 조사한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교환함으로써 지진발생 구조 및 지구내부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어내는 것을
목표
로 하고 있다.이번 3월 포항시 용흥동의 한국동력자원연구소 포항분소에 설치된 초정밀 장주기 지진계는 포세이돈 관측망의 하나로서 최초로 일본 이외의 국가에 설치된 관측점이다. 이 계획은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발전은 학문들간의 벽을 허물고 있다. 그리고 인간이 과학기술을 통해 지행하는
목표
가 점점 높아져 거대과학(big science) 프로젝트들이 생겨남에 따라 필연적으로 각 분야의 과학기술자들이 힘을 뭉치지 않으면 이러한 연구자체가 불가능하게 됐다.컴퓨터의 예를 들어보자. 컴퓨터의 원리를 연구하고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