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의 밀레니엄 로봇 퍼레이드과학동아 l1999년 09호
- 강아지로봇 아이보뛰고 공을 차고 물건을 물고 다니며 갖가지 재롱을 피우는 강아지로봇 AIBO(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1999년 5월 12일 소니에서 개발했으며 일본어로 '친구'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아이보는 3개의 자유도(위아래, 앞 뒤, 좌우)를 지닌 발, 2개의 자유도(위아래, 좌우)를 지닌 꼬리, 한개 ... ...
- 디지털TV의 안방 혁명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좌우로 길쭉한 16:9화면에 엄청난 선명도를 지닌 TV, 리모콘 하나로 인터넷까지 할 수 있는 TV, 영화를 보다가 주인공 배우의 신상명세를 프린트해볼 수 있는 똑똑한 TV가 나온다. 바보상자가 아닌 명실공히 안방의 정보상자가 우리 앞에 오고 있다. 디지털 TV가 몰고 올 안방 혁명의 모습을 들여다보자. ...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과학동아 l1999년 08호
- 1961년 4월 12일 오전 9시 7분 보스토크(러시아어로 ‘동쪽’이라는 뜻) 1호가 서서히 우주를 향해 솟아올랐다. 얼마 후 그 안에 탑승한 유리 가가린(1934-1968)은 인간으로는 처음으로 우주에서 지구를 내려다 볼 수 있었다.“지구표면에서 반사되는 빛과 칠흑같이 어두운 하늘이 수평선에서 아주 선명하 ... ...
- IBM왓슨 연구소과학동아 l1999년 08호
- 컴퓨터가 인간을 이기다. 비록 체스경기이지만 딥블루는 인간 챔피언의 무릎을 꿇린 최초의 컴퓨터였다. 딥블루의 고향은 IBM 왓슨연구소. 딥블루 승리 이후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고 있는 세계 최대 컴퓨터연구소인 왓슨연구소의 연구현장을 둘러보았다.하늘을 찌를 듯 솟구치는 마천루, 형형색색 ... ...
- 공룡알에 숨겨진 비밀들과학동아 l1999년 08호
- 요즘 국내에서 공룡알화석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공룡알이 무슨 대단한 발견이냐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그렇지가 않다. 공룡알은 공룡의 삶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공룡알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무엇일까.거대한 공룡들은 얼마나 큰 알을 낳았을까. 공룡알은 파충 ... ...
- 3. 민주주의 앞당긴 염료의 역사과학동아 l1999년 08호
- 귀족들만 향유할 수 있었던 염료. 합성염료의 개발이 세계의 민주주의를 앞당겼다면 과장일까. 라스코 동굴벽화에서 합성염료까지의 역사를 알아본다.현대 생활에서 색깔은 매우 다양하게 쓰인다. 옷이나 건물은 그 디자인과 더불어 색깔 때문에 더욱 빛나고, 신호등이나 표지판의 색깔은 유용한 ... ...
- DNA에 암호를 담는다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사람의 DNA 안에 암호메시지를 숨기는 방법이 개발됐다. 2차대전 중에 나찌 스파이들은 암호가 내장된 점을 문장 끝에 마침표로 찍어 아무런 의심을 받지 않고 우편을 통해 전달될 수 있었다. ‘네이처’지 최근호가 소개한 새로운 암호기법은 이와 매우 흡사하다.분자생물학자 카터 뱅크로프트와 ... ...
- 라디오파로 영상 전송 가능과학동아 l1999년 07호
- 값비싼 위성을 이용하지 않고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이 새로운 방법은 전 세계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데 드는 비용을 대폭 삭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방법은 단파인 라디오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방식과 같다.영국 랭카스터 대학과 국방연구평가원의 ...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최초의 복제양 돌리의 몸이 동갑 양들에 비해 많이 노화됐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지난 5월 27일 발간된 ‘네이처’에서 돌리의 경우 세포 노화의 척도로 알려진 염색체 말단 부위인 텔로미어(telomere)가 정상이 아니라는 글이 실렸다. 이 내용을 발표한 사람 중에는 돌리를 탄생시킨 주 ... ...
- 인간을 빼닮은 컴퓨터 속의 생명체과학동아 l1999년 07호
- 단백질합성효소 네트워크 연구단. 얼핏 들었을 때 감이 와닿지 않는 말이다. 단백질합성효소란 세포 안에서 인체에 필요한 단백질을 만드는데 필요한 효소다. 그런데 ‘네트워크’(network)는 생물학보다 정보통신 분야에서나 어울릴 듯한 단어다. 더욱이 단백질합성효소를 영어로 표현하면 ARS ... ...
이전3223233243253263273283293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