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장치’라고 불렀다.적외선 빔으로 망막 박리 질환 찾아내광주과학기술원(GIST) 정보통신
공학
과 이병하 교수는 “깊이 1mm 이내의 두께를 갖고 있는 망막은 OCT로 촬영하기 더없이 좋다”고 말한다. OCT는 망막에 난 구멍이나, 망막이 주변 조직으로부터 분리되는 병인 망막박리를 확인하는 데 ... ...
‘꿈’이 필요한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좋아하며 그림에도 소질이 있음을 알게 됐다. 결국 학생은 진실한 눈빛으로 컴퓨터
공학
과(경영학 복수전공) 진학을 목표로 공부하기로 약속했다. 학생을 설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프로게이머 전성시대를 누리고 있는 선수들의 데뷔 나이가 17세인데 본인은 이미 게임영재가 아니며,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몸이다. 하지만 우연한 기회에 만난 어거스틴 박사의 도움을 받아 첨단 신경과학과 생명
공학
의 조합으로 만든 아바타를 통해 새 삶을 시작한다. 영화 속 현실에선 불구의 몸이지만 자신의 뇌와 접속해 있는 아바타를 통해 마음껏 달리고 뛰고 하늘을 날아다닌다. 제이크와 아바타를 잇는 ‘링크 ... ...
표면장력 스파이더맨 납시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Chrysomelidae)에 속하는 곤충은 2만 5000여 종으로 전 세계에 분포해 있다.코넬대 화학생명
공학
자 폴 스틴 교수팀은 이 잎벌레가 입을 타고 다니는 능력에 주목했다. 연구팀이 잎벌레에 관심을 갖게 된 건 2000년. 코넬대 토머스 아이즈너 연구팀이 잎벌레의 한 종류인 ‘플로리아산 무당벌레(Hemisphaerota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수 있어 효율적이다.특히 새 우주복에 적용된 아코디언 모양의 관절은 눈길을 끈다. 인체
공학
적이기 때문이다. 공기가 꽉 찬 튜브를 반으로 접으려면 내부에 공간이 줄어드는 만큼 압력도 증가하기 때문에 반발력이 발생한다. 내부 압력이 높은 우주복을 입고 팔을 굽히기 어려운 이유도 이러한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왜 한국에 있는 모든 학교 교실들은 다 똑같이 생겼을까. 사각형으로 생긴 교실의 맨 앞엔 커다란 칠판이 붙어 있고, 그 뒤로 책상들과 의자들이 차례로 줄지어 늘어서 있다. 뒷벽엔 영락없이 시간표와 학습 자료가 붙어 있고, 출입문이 앞뒤로 두 개씩 나 있다. 이렇게 생긴 교실에서 학생들이 공부 ... ...
건축환경계획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우선은 건축환경계획에 기초가 되는 물리학과 수학이 탄탄해야 함은 필수다. 건축
공학
과는 공대에 속해 있지만 인문사회학을 아우르는 폭넓은 학문이다. 그러므로 여러 분야에 다양한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 적합하다. 또한 건축은 많은 사람이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므로 원만한 ... ...
김빛내리 교수 ‘셀’지 편집위원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김빛내리(41)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세계적인 생명과학 학술지 ‘셀’의 편집위원에 2월 선임됐다.셀은 네이처, 사이언스와 함께 세 ... 관련 연구 분야에 자문을 하게 된다. 김 교수는 이에 앞선 1월 5일 현택환(46) 화학생물
공학
부 교수와 함께 서울대 최초 ‘중견 석좌교수’로 임명됐다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구글이 2004년에 대용량의 위성영상을 인터넷에 서비스하는 회사 ‘키홀’을 인수 합병했을 때만 해도 사람들은 그저 구글에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이 하나 추가되겠거니 생각했다. 하지만 2005년 공개된 이 고해상도의 영상지도는 현실정보와 결합해 더욱 가치 있는 정보로 탈바꿈했고, 과학자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각종 렌즈와 미세한 구멍들을 설명해줬다. 복잡하고 정교한 부품들을 보니 왜 정보통신
공학
과에서 현미경을 만드는지 충분히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살아 있는 세포 관찰하는 유일한 광학현미경연구단에서 만들고 있는 현미경들은 모두 최첨단 레이저를 사용하는 광학현미경이다. 초중고등학교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