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들도 장래 계획 세운다
과학동아
l
201111
매일 확인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새들은 군대개미 원정대를 잡아먹은 뒤 해가 지기
전
에 군대개미의 임시 거주지를 확인한다. 다음날 아침이 되면 새들은 그곳으로 돌아와 군대 개미의 행동을 관찰하다가 원정을 떠나면 또 쫓아가서 잡아먹는다. 원정을 가지 않으면 다른 개미 군집을 찾아 떠난다 ... ...
PART 4. SF꽁트 -
전
송오류
과학동아
l
201111
남 박사가 양자
전
송을 통해 연구실에 왔을 때 조수는 잔뜩 흥분해 있었다.“박사님, 성공했습니다. 드디어 물체를 빛보다 빠른 물질로 바꾸어
전
송할 수 있게 되었어요.”남 박사 ...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PART 4. SF꽁트 -
전
송오류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11
들었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지능이 발달한 사람 사이에서만 하품이
전
염될 수 있다는 얘기다. 수학부문에서는 한국인도 수상자에 포함돼 있다. 1992년에 휴거가 일어난다고 주장하며 신도 2만 여 명을 모았던 이장림 목사다. 이그노벨상 선정단은 ‘수학적 가정을 세우고 답을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11
이후의 스티브 잡스2.0을 구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스티브 잡스는 결혼한 이후 완
전
히 다른 사람이 됐다. 양아버지가 그랬듯이 가족을 생각하는 사람이 됐던 것이다. 한때 외면 했던 리사를 데려왔고 자식 교육을 위해 집도 옮겼다.잡스는 훗날 결혼이 자신에게 좋은 영향을 끼쳤고, 로렌과 결혼한 ...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11
작열하는 태양 아래 땅도 무섭게 이글거리는 곳. 외로움과 메마름이 지나쳐 풀 한 포기도 쉽게 찾아볼 수 없는 곳.사막은 우리에게 낯설다. 우리나라엔 사막이 ... 잃으면 언제나 정점을 찍은 뒤에야 안정화된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사막화가 정점을 찍기
전
에 올바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11
휴일이던 10월 2일 오
전
, ‘미토콘드리아 이브’ 연구로 유명한 레베카 칸 미국 하와이대 교수가 한국에 왔다는 소식을 들었다. 미토콘드리아 이브는 20만 년
전
아 ... 계획입니다. 언어와 뇌과학 사이의 관계는 대단히 복잡합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랬듯 새로운 영역에 도
전
할 생각입니다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11
[이 영화는 켄튼과 그의 아들, 그리고 고철덩어리 로봇 ‘아톰’의 성장스토리다. 주인공과 아톰은 서로를 보며 성장한다.]무명의, 혹은 퇴물이 된 권투선수가 강력한 적수를 하나씩 물리치 ... 학습하는 기능이 있다.
전
직 권투선수인 켄튼의 권투 자세를 배우며 날이 갈수록 발
전
한다. ... ...
대한민국 여성 과학인재를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11
학교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대입에서도 유리하다. 2012학년도 연세대 과학인재
전
형에서 허연지 학생이 우선선발로 건축공학과에 합격하는 등 이공계 학생의 진학에 대한 노하우가 있다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1
실천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걸 알리는 거예요. 매년 RGB 사진 공모
전
과
전
시회를 열고 있고, 또 지구를 치료하기 위한 실천방법에 대해 탐구해 그 결과를 겨루는 ‘사이언스 챌린지’도 열고 있어요. 지구문제에 대해 다루는 국내외단체에서 대학생들이 직접 활동해 볼 수 있는 ‘RGB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11
겉과 속을 구분하기 힘들다. 아니 구분이 없다. 과연 진실일까? 진실을 파헤치기
전
에, 두께가 있는 원기둥을 살펴보자.두께가 있는 원기둥은 오른쪽 그림처럼 생긴 고무관을 상상하면 된다. 그 다음 도형 안쪽에 손가락을집어넣어 뒤집으면 겉과 속을 뒤바뀌꿀 수 있다. 이는 우리 몸속의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