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4,947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07
니콜라이 바소프(1922-)와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1916-)도 암모니아 메이저를 개발하는데
성공
했다. 결국 타운스는 바소프와 프로호로프와 공동으로 1964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된다.메이저를 개발한 타운스는 1957년 마이크로파보다 더 파장이 짧은 가시광선을 증폭할 수 있는 레이저에 도전했다.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06
르바리에는 해왕성의 존재와 위치를 예언한 공로를 공동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
성공
을 계기로 르바리에는 수성 궤도의 이동 문제에 집중했고, 불칸이라는 수성 안쪽 행성을 제안했다.해왕성 발견 직후 르바리에는 알려지지 않은 행성이 더 있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리고 나서 10월 10일 해왕성의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06
쿠르차토프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그리고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1949년 8월 29일 핵실험에
성공
했다.미국은 2차대전의 주범인 독일이 핵폭탄을 개발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게다가 히틀러와 나치스는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완전히 패색이 짙었으며, 미국이 핵폭탄을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06
의학분야에서 다각도로 활용이 모색된다. 키를리안 사진으로 암을 진단하는 실험이
성공
을 거둔 적이 있으며, 일부 연구진들은 키를리안 사진술을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 의학영상기술과 결합하는 의료진단 시스템의 개발을 꿈꾼다. 러시아인들은 키를리안 사진기로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06
맞추어 아프리카와 브라질에 원정대를 파견해 개기일식 중에 태양 근처의 별을 찍는데
성공
했다. 관측 결과는 아인슈타인의 예측대로 별의 위치가 달라졌음이 밝혀졌다. 이로써 태양의 중력은 공간을 휘게 만들고 별빛 역시 휜 공간을 따라 이동한다는 것이 증명됐다 ... ...
① 시험관아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05
되지 않는 경우’라고 정의한다. 부부가 모두 정상이면 임신은 보통 1년 이내에 80-90%
성공
한다. 이 정의에 따른다면 불임 부부의 수는 ‘10쌍 중 1쌍’을 웃돌 것이다.불임의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그 원인이 남성에게 있느냐 여성에게 있느냐를 따진다면 ‘둘다 거의 같은 ... ...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05
정소 세포를 시험관에서 배양하고, 여기에 미성숙한 생식세포를 넣고 키웠다. 이 가운데
성공
적으로 성숙한 생식세포를 골라 난자와 수정시킨 것이다.그렇다면 왜 사람의 정소 세포가 아닌 쥐의 세포를 사용했을까. 안티노리 박사는 “만일 정상적인 다른 사람의 정소 세포에서 배양했다면 여기서 ... ...
⑦ 복제
과학동아
l
199905
자궁세포와 귀세포가 이용됐다. 이 외에도 황교수가 복제 수정란을 착상해 임신에
성공
한 20여마리의 복제소들 가운데 수컷은 없다.현재 수컷이 복제가 되는지 여부는 논란중이다. 최근 일본에서 수컷 세포를 이용해 수정란단계까지 진행시켰지만, 어미의 자궁에 착상하는 일이 실패했다고 한다 ... ...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탄생한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05
서부를 지키는 룬슈테트 사령관과 베를린사령부와의 교신을 청취해 그 암호를 푸는데
성공
했다. 그리고 6월 6일(‘D데이’라는 말은 여기서 나옴) 2차대전을 연합국의 승리로 이끌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감행했다. 그러나 콜로서스의 존재는 1970년대 후반까지 비밀이 누설되지 않아 전혀 알려지지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05
한 계속 새로운 기술이 개발돼야 하므로 전망이 밝다는 것이다.2번의 발사, 2번의
성공
. 그리고 우리별 3호. 이번에 우리별 3호를 발사하는 연구원들은 이게 늘 불안하다. 즉 과거에 실패의 노하우를 습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에 실패하면 어떨까 두려운 것이다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