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도시의 녹지는 섬처럼 조각조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1
도시생태계는 섬과 닮았다?동물들은 식물이 가득한 자연환경에서 살아가지. 도시에도 이런 ‘녹지’는 있지만, 도로와 건물 때문에 대부분 작은 섬처럼 고립돼 있어. 그 결과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고 있지. 우선 그 안에 사는 동물들의 서식처가 좁아져. 먹이도 줄어들기 때문에 많은 생물이 살아 ... ...
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
과학동아
l
201501
일반인과 소통하는 노력을 간과해서는 안 되며,
과학
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과학
자 스스로가 깊은 성찰을 거듭할 필요가 있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100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PART2. 상대성이론 이해하기PART3.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
과학동아
l
201501
안에 정말로 중요한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도 그럴 것이 유능하고 젊은
과학
자들이 유례없는 계산 능력으로 상대성이론을 파헤치고 있다. 일반상대성이론의 한계에 접근하면서 대안이 될 중력이론들도 모색하고 있다. 현대 물리학의 중대한 변환의 시기에 연구자로 일할 수 있어 ... ...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
과학동아
l
201501
것 같아’라고 느낄 수 있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글을 읽는 독자여러분도 어려운
과학
을 일상 생활의 언어로 쉽게 풀어볼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100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PART2. 상대성이론 이해하기PART3. 우주를 ... ...
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뜰까
과학동아
l
201501
말했다. 미국의 첨단 항공기업 아에리온의 테스트 매니저인 제이슨 마티셰크도 미국
과학
잡지 ‘파퓰러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소닉붐을 줄이려고 동체를 바꾸면, 최악으로 설계한 항공기보다 공기저항을 많이 받게 된다”며 “소음 개선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연비 문제는 해결할 수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
과학동아
l
201501
유일한 ‘보호막’, 입는 데만 20분지난달 5일 충북 청주시 오송읍 질병관리본부. 아프리카 시에라리온 지역에 파견된 우리나라 의료진이 현지에서 착용하는 보호장비를 직접 입어봤다. 환자와 접촉이 많은 의료진들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은 최고 20%에 달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 ...
[화보] 지구 태초의 순수를 기록하다
과학동아
l
201501
생명의 경외 담은 흑백의 울림세바스치앙 살가두의 작품은 모두 흑백 톤이며 아날로그 방식으로 인화된다. 작가는 평소 흑백사진을 “다양한 농도의 회색들로 그리는 추상화”라고 표현하며 사진에 긴 설명을 달지 않았다. 사진 속에서 생명의 경외를 더 깊이 느끼며, 상상력을 더해 감상하라는 배 ... ...
[
과학
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01
허니버터칩도 감자칩이다. 그런데 달다. 아카시아꿀과 설탕, 결정과당을 사용해 단맛을 낸다. 대신 보통 감자칩보다 덜 짜다. 일반 감자칩은 과자 100g당 소금의 양이 540mg이고, 허니버터칩은 483mg이다. 고정관념을 깬 ‘단 감자칩’, 이것이 허니버터칩의 비밀이다. 그런데 이것만이 아니다.김치찌개 ... ...
[
과학
뉴스] 가거초의 해양생물
과학동아
l
201501
등 다채로운 해양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한국해양
과학
기술원은 가거초에 설치한 해양
과학
기지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지난 12월 화보집 ‘가거초의 해양생물’을 발간했다 ... ...
[
과학
뉴스]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
과학동아
l
201501
조류 계통분석 컨소시엄’이라는 국제공동연구의 일환으로 이뤄졌다.20개국 200여 명의
과학
자들이 4년 간 조류 48종의 게놈을 분석해 조류 진화계통도를 작성한 이 컨소시엄을 통해 조류가 공룡 멸종 이후 다양한 종으로 분화하는 ‘빅뱅 진화’를 겪었다는 학설이 확인됐다.그리핀 교수팀은 잉꼬와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