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뉴스
"
항공
"(으)로 총 5,531건 검색되었습니다.
'보건선진국 맞아?'…美日, 코로나 안이한 대처로 실책 잇따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2.16
미국의 2차 전세기를 타고 미국에 돌아와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인근 미라마 해병대
항공
기지에 격리됐다. 당시 환자를 비롯한 총 4명의 미국인이 의심 증상을 보여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병원으로 이송됐다. 병원은 이들의 검체를 채취해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CDC 본부로 보냈다.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두 소행성이 부드럽게 뭉쳐서 형성된 것으로 분석됐다. 아로코스를 발견한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탐사선 ‘뉴허라이즌스’호 연구팀은 뉴호라이즌스호가 보내온 자료를 토대로 아로코스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이달 13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같은 날 미국 시애틀에서 열리고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열챔버의 모습이다.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 제공 이렇게 완성된 천리안 2B호는 1월 5일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 위성시험동을 떠나 러시아 운송기를 타고 캐나다를 거쳐 1월 6일 남미 기아나우주센터에 도착했다. 운송과정 중에도 연구팀이 해야 할 일은 산더미다. 운송 중에, 그리고 경유지를 비롯한 각 ... ...
30년 전 우주에서 포착된 '창백한 푸른 점'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점이 지구다. NASA 제공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30년 전인 1990년 2월 14일 오후 1시 38분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태양계 탐사선 ‘보이저 1호’가 지구로부터 약 60억 ㎞ 떨어진 우주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에 붙은 '창백한 푸른 점'이란 이름은 저서 《코스모스》로 유명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이 ... ...
‘방·단 갑옷’ 입은 태양 극지 탐사선, 600도 고열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빠져나가게 하는 환풍구멍 역할을 한다. 양 책임연구원은 “티타늄은 오래전부터
항공
기나 우주선 등 고온에 노출되는 부품에 사용된 고성능 내열 소재”라고 말했다. 열에 민감한 탑재체(전자관측장비)가 실려있는 탐사선 내부에는 5cm 두께의 알루미늄으로 벌집 구조를 만들었다. 알루미늄으로 ... ...
USB충전기 계산속도, 유인 달탐사선 아폴로11호 컴퓨터보다 48배 빠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2
이용하는 누구나 하나 이상 갖게 된 USB 충전기가 1969년 인간을 달로 데려간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아폴로 11호’에 쓰인 컴퓨터보다 48배 빠른 고사양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미국 기술매체 더버지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포레스트 헬러는 최신 USB C타입 충전기와 ... ...
태양 탐사선 '솔라 오비터' 발사 성공..."태양 남북극 관측 첫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현상과 태양 대기(코로나) 등을 상세히 관측할 계획이다. 유럽우주국(ESA)이 주도하고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공동으로 개발에 참여한 태양 탐사선 ‘솔라 오비터’가 9일 밤 11시 3분(한국시간 10일 오후 1시 3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캐내버럴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아틀라스5 발사체에 실린 채 ... ...
수성보다 더 가까이서 태양 지켜볼 우주망원경 금주 발사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등을 처음으로 상세히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럽우주국(ESA)이 주도하고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공동으로 개발에 참여한 태양 탐사선 ‘솔라 오비터’가 10일 오후 1시 3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캐너버럴기지에서 아틀라스5 발사체에 실려 발사된다. 솔라 오비터는 태양을 공전하며 ... ...
[과학촌평] 학문 다양성 지탱하는 '두뇌한국'을 기대하며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융복합 분야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스마트시티나 드론 분야에 정작 건축이나
항공
분야 인재가 가지 않는다면, 그 분야가 과연 오래 서 있을 수 있을까. 사상누각이 아닐까. ... ...
국내 연구팀 "中 이민자·유학생 많은 나라일수록 신종 코로나 발생 가능성 높다 "
동아사이언스
l
2020.02.07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국 존스홉킨스대나 노스이스턴대 등의 물리학자들은
항공
기 이착륙 데이터 등을 토대로 감염병의 확산 양상을 모델링 기법으로 추정하는 연구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이렇게 정보 기반으로 예측을 하면 확산 양상을 사전에 짐작해 정책적으로 대응할 아이디어를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