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70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업 유치 노력·풍부한 인재풀·親연구환경이 바이오강국 싱가포르의 성공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종류를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MGEN 제공 토드 왈드론 암젠 싱가포르 생산시설
생물
의약품 생산 담당자는 “싱가포르는 폭넓은 인재풀과 우호적인 기업 환경을 갖추고 있어 생산 시설 확장에 이상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크 오도녹휴 애브비 싱가포르 사이트 디렉터는 ... ...
KAIST, 퇴직 교수와 신진 교수 협업하는 '초세대 협업 연구실' 추가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9.03
초세대 협업 연구실이 운영된다. 바이오디자인공학 연구실은 합성
생물
학 및 시스템
생물
학을 기반으로 단백질 의약품 및 바이오메디칼 활성소재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최적의 유전체를 디자인하고 합성해 `지능형 산업용 세포공장'을 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나노포토닉스 연구실 미래 비선형 ... ...
韓과학영재들 일냈다…물리·화학·
생물
·지구과학 올림피아드 1위 첫 싹쓸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9.03
수상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대회까지 휩쓸며 한국은 올해 열린 물리·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기초과학 분야 4개 올림피아드에서 대표단 모두가 금메달을 따고 종합 1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이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3일까지 대구에서 열린 ... ...
아·태지역 혁신 제약사에 한미·대웅 등 국내 21개社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계획을 내놨다. 베링거 인겔하임은 유한양행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치료하는
생물
학적 제제에 대한 라이센싱을 위해 4000만 달러를 선지급한 데 이어 8억3000만 달러짜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는 국내 약품 제조 역량과 임상 전문 분야에 대한 근본적 투자 부족을 해결해야 하고 ... ...
"동성애 유발 단일·소수 유전자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47만 명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대규모 유전체(게놈. 한
생물
이 지닌 DNA의 총합) 연구 결과 밝혀졌다. 이는 동성애가 소수가 아니라 수백, 수천 개의 무수히 많은 유전자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해 일어난다는 뜻으로, 동성애가 유전적 요인의 영향에 의해 일어난다는 기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틸다의 유리천장
2019.08.29
1124236398372876288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
학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 ...
'큰볏말뚝망둥어' 표준 유전체 완성…한반도 고유종中 최초
2019.08.29
원숭이 등 68개의 표준 유전체를 공개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 국가해양
생물
유전체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팀은 사업의 후속 연구로 고등어의 표준 유전체를 만들어 공개할 계획이다. 이 연구원은 "첫 연구가 국가 고유종에 대한 학술적 연구였다면, 두 번째 연구는 ... ...
후쿠시마 바닷물 128만t 유입됐는데…해수부·원안위 '업무 떠넘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선박평형수 및 침전물의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에 따라 운용된다. 이 협약은 해양
생물
의 이동에 따라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들어졌다. 한국과 일본을 포함해 50개국 이상이 비준했다. 하지만 이 협약에는 선박평형수의 방사능을 관리하는 규정이 없다. 해수부 관계자는 “일본의 ... ...
국제뇌과학기구(IBRO) 사무총장에 정성진 한국뇌연구원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2024년까지다. 정 신임 사무총장은 가톨릭대
생물
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분자
생물
학 석사와 박사를 받았다. 서울대 의대와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2013년부터 한국뇌연구원에서 일하고 있다. 한국뇌연구원 뇌연구정책센터장을 거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겸임교수와 ... ...
남태평양 한가운데 별안간 '여의도 18배' 섬 떠다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수 있기 때문이다. 마틴 주츨러 호주 태즈메이니아대 지구물리학과 연구원은 "수많은
생물
들이 부석에 들러붙은 채로 수천 km 먼 바다로 이동한다"며 "이런 과정을 거쳐 어느 지역엔 새로운 종이 들어오는 등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되는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