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뉴스
"
방식
"(으)로 총 8,893건 검색되었습니다.
잎 따고 냄새 맡고,물 마시고 의사소통까지…'코끼리 코, 못하는 게 뭐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비결은 큰 콧구멍과 특별한 호흡기 시스템 덕분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비침습적
방식
의 초음파를 활용해 코끼리가 콧구멍을 확장하고 코의 부피를 64%까지 늘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약 6리터의 액체를 코 속에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또 얼마나 빨리 액체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코로나 시대'의 보통과학자 그리고 과학지식인
2021.06.03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
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한국 ‘러브콜’ 했던 빌 게이츠의 4세대 원전, 와이오밍주에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한번 장전하면 20년 동안 핵연료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장주기 노심”이라며 “이런
방식
의 4세대 원전으로 전기 생산을 실증하는 건 테라파워가 처음”이라고 말했다. 올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원자력연이 개발 중인 소듐냉각고속로를 전력 생산용으로 전환하는 연구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 ...
약물 전달한 뒤 사르르 녹는 얼음 미세침
과학동아
l
2021.06.03
신경에 채 닿지 않는 피부 아래 1mm 이내의 깊이로 미세한 침을 찔러 약물을 투여하는
방식
이다. 다만 지금까지 개발된 미세침은 피부에 붙인 뒤 약물 주입이 끝나면 다시 떼어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홍콩시립대 바이오의공학부 연구팀은 얼음으로 만들어 사용 후 떼지 않아도 되는 미세침을 ... ...
"프랑스, 의존 낮추지만 원전은 탄소중립 핵심수단"…내년 고준위방폐장 ‘시제오’도 착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제정한 뒤 방사성폐기물관리청(ANDRA)을 전담 기관으로 정해 시제오 부지 선정과
방식
에 대한 과학적 검증 작업을 벌였다. 다니엘 들로르 방사성폐기물관리청 국제협력팀장은 “국민의 의견을 묻는 공론화 과정을 포함해 시제오 계획 확정까지 25년이 걸렸다”며 “운영 기간은 100년으로 예상하고 ... ...
국내서도 코로나 mRNA 백신 개발·생산…"다음 팬데믹 대비"
연합뉴스
l
2021.06.02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RNA 형태로 만들어 우리 몸에 투여하는 백신이다. 국내에서 이
방식
으로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에 진입한 업체는 아직 없지만, 에스티팜이 올해 안으로 1상을 개시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mRNA 합성과 항체 생성에 핵심적인 5프라임-캐핑(5'-Capping) 기술과 mRNA 기반 ... ...
"대구 화이자 백신 구매 주선 제안, 정상경로 아냐"…화이자 "진위 파악 후 법적 조치"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본사쪽에 문의한 결과 현재까지 한국에 대한 판권은 화이자만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방식
으로 공급되지 않는다는 답변을 통보받았다”며 “좀더 확인이 필요하지만 정상 경로는 아닌 것으로 판정되고 있고 공급이 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대구시의사회와 의료기관 ... ...
무엇이든 잡는 로봇손, 비밀은 손바닥
과학동아
l
2021.06.02
및 재료과학부 연구원팀은 사람의 손처럼 손바닥까지 활용해 물건을 더 쉽고 다양한
방식
으로 집을 수 있는 로봇손을 개발했다. 기존에 개발된 로봇손 대부분은 손가락 모양의 집게만을 이용하기에 사물의 형태와 특징에 따라 집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팀은 새로운 로봇손을 개발하기 위해 6 ... ...
“한국 배터리 산업은 ‘불안한 1등’ 자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대한 쓴소리도 나왔다. 정경윤 단장은 “그간 국내 연구개발 풍토가 선진국을 따라잡는
방식
이어서 이차전지 연구에도 이런 풍토가 남아 있어 아쉬운 부분이 많다”며 “이제는 우리가 원천기술 개발과 확보에 주력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명공학부 교수는 “그간 대부분 ... ...
"수행중이던 과제수에 따라 R&D 참여제한 기간 차이 두는 건 과도한 제재"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위원회는 이날 제재를 받은 연구자에 대한 정부 R&D사업 참여 제한 기산일 적용
방식
에 대해 새로운 기준을 마련했다. 지금까지 제재 처분은 부정행위를 저지를 당시 참여하고 있던 과제 개수를 합산해 이뤄졌다. 예를 들어 학생인건비 관리에서 부정행위를 저지른 연구자는 5년간 정부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