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뉴스
"
관찰
"(으)로 총 4,568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망토에 한걸음 더...'거울 대칭' 금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9
합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편광을 이용해 제어하는 광소자나 곤충 표면에서
관찰
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한 구조색, 빛의 특성을 제어하는 투명망토 그리고 바이오센싱 등의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사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디스플레이 분야의 원천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노준석 ... ...
과학동아 주제가 '빛처럼' 뮤비 공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3
천천히 스며들어가 내 작은 창속으로’에서 ‘빛의 조각’은 빛을 이용해 인간이 세상을
관찰
한다는 사실을, ‘작은 창’은 인간의 신경세포를 뜻한다. 노래는 가수 이탕이 맡았다. 이 프로젝트를 기획한 박찬대 엔터아츠 대표는 “'빛처럼’ 제작은 AI 활용을 통해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 ...
[출동! 기자단] 가제트 로봇 팔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13
수 있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어떤 로봇을 만들고 싶은가요? 주변의 물건들을
관찰
하며 신기하고 특이한 로봇을 상상해 보세요! 소프트로봇 기술연구센터장 조규진 교수님과 어린이기자단 친구들 - 어린이과학동아 8호 제공 참가자 명단 : 박강민(서울 포이초 6), 박재욱(서울 ... ...
AI가 만든 과학동아 주제가 '빛처럼' 멜론에 공개됐다
과학동아
l
2018.04.13
천천히 스며들어가 내 작은 창속으로’에서 ‘빛의 조각’은 빛을 이용해 인간이 세상을
관찰
한다는 사실을, ‘작은 창’은 인간의 신경세포를 뜻한다. 노래는 가수 이탕이 맡았다. ‘빛처럼’을 가수 이탕이 녹음하고 있다. -과학동아 제공 엔터아츠는 빛처럼을 필두로 매달 AI 기반의 K팝 음반을 ... ...
용암이 만든 절경....유네스코 세계유산 ‘자이언트 코스웨이’은 어떻게 생겨났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발표했다. 연구팀은 용암이 냉각돼 액체에서 고체로 변하며 균열이 생기는 과정을
관찰
하는 실험을 설계했다. 그 결과 용암이 약 1000도 근처로 온도가 떨어지면 암석으로 굳어지며, 이보다 약 90에서 140도 정도 더 식으면 그 암석에 균열이 간다는 것을 확인했다. 자이언트 코스웨이를 위에서 ... ...
고마웠어, 케플러!
과학동아
l
2018.04.12
시작했다. 카메라를 고정하지 않고 3개월 마다 방향을 돌리면서 다양한 각도에서 우주를
관찰
한 것이다. 이달까지 케플러는 이 임무를 17회 완수했다. 케플러는 현재 지구에서 약 1억5000만km 떨어져 있어 연료 보급이 불가능하다. 연료가 떨어지면 그 자리에서 임무가 종료된다. 찰리 소벡 NASA 케플러 ... ...
[과학사진관] 경고! 지나친 현미경 사용은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1
(kg24569@ibs.re.k) 소속 |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작가의 말 교차된 평광판을 통해
관찰
되는 액정(liquid crystal)의 부채꼴형 결함(fan-like defect) 문양은 경고 메시지를 잊게 할 만큼 흥미로워 한참을 들여다봐도 지루하지 않다. 본 이미지는 시료와 두 번째 편광프리즘(분석기) 사이에 전파지연판(full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다시 팽창하기 시작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호킹이 연구를 시작하던 시기에는 실험과
관찰
을 기반으로 한 실험물리학이 붐이었다. 사진은 1965년 조지프 웨버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가 커다란 알루미늄 안테나를 이용해 중력파 검출 연구를 하는 모습 - 메릴랜드대 제공 이를 입증하기 위해 호킹이 ... ...
[과학사진관] 난 죽을 수도 있어요.사랑을 위해서라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4.10
PKC 단백질과 결합된 NSH2, MSH3 단백질도 세포막으로 이동한다. 이 작품은 이동현상을
관찰
하던 중 순간적으로 하트 형상을 하고 있는 세포를 포착한 이미지다. 약물로 인해 나타난 사랑의 묘약이라 할 수 있다. ▶[과학사진관]의 다른 작품 둘러보기 #만남 #이제나를봐요 ※편집자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현상도 일어날 거라고 봐도 무리가 없다는 논리다. 게다가 1998년 논문에서 신경생성이
관찰
된 다섯 명의 평균나이는 64세였다! 180도 다른 결과 나와 학술지 ‘네이처’ 3월 15일자에는 이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노인은 고사하고 십대 후반만 돼도 신경생성이 거의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