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르세우스 유성우 여름밤 별똥축제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성운 성단들을 거느린채 최고의 관측조건을 이루며 우리의 시선을 기다리고 있다. 한
편
동쪽의 하늘에는 염소자리와 물병자리가 화려한 1등성 없이 조용히 떠오르고 있다. 여기서 함께 떠오르는 밝은 별은 1등성이 아니라 우리 태양계의 가족인 토성이다. 북쪽의 밤하늘칠월 칠석을 맞이하는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껴야되는 경우가 종종 생기므로 그때마다 안경을 꼈다 벗었다 한다는 것은 매우 불
편
한 일이다. 또한 난시인 사람은 안경을 꼭 낀채로 관측해야 하므로 안경을 낀채로 관측할 수 있도록 눈거리가 충분히 긴 것을 선택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눈거리가 최소한 14㎜ 이상인 쌍안경을 골라야 한다.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끼고 소나기 오는 날도 있겠으며 대기의 불안정으로 국지적인 집중호우가 예상된다.한
편
동해안 지방은 일시적으로 오호츠크해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낮을 때도 있겠다. 태풍은 2개 정도 영향을 받겠다.전반적으로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강수량도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지역차가 ... ...
숙주와 기생생물 '군비확대경쟁'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대부분의 기생체학자들과 진화생태학자들 사이에 하나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기생
편
리공생 상리공생 따위의 용어가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생물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거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소지가 많기 때문이다. 어쨌든 ... ...
(3) 지름 1백m 소행성, 1만년 한번꼴 지구 충돌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현재 궤도가 확실히 밝혀진 소행성만도 5천개가 넘는다. 그러나 이 숫자는 10만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전체 소행성에 비하면 아주 적은 수다. 이들은 나름대로의 자기 ... 파괴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이는 세계가 공동으로 철저하게 우주 경계를
편
다는 전제 하에서의 이야기다 ... ...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작게 쓴다.연필잡기도 측이마 직선형의 경우 바로잡는 빈도가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편
이었다 그러고 보면 북방의 고구려 글씨가 힘차 보이고 신라의 글씨가 단정하며 백제의 글씨가 유려한 것은 그 지역인 특징의 이마형과 연관돼 예사롭지 않게 생각된다(사진2). 한국인 우뇌인 7 좌뇌인 3의 ... ...
큐닉스, 델컴퓨터 30일 환불 보증제 실시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이번 30일 환불 보증제 역시 통신 판매를 뒷받침하는 방안으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한
편
창업 10년째인 델컴퓨터는 미국의 IBM, 컴팩 등과 함께 세계 3대 PC메이커로 꼽히고 있으며 세계 16개국에 현지 지사를 두고 120개국 이상에서 자사의 컴퓨터를 판매하고 있다.현재 큐닉스가 공급하고 있는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호르몬의 세포내 신호전달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이해하는데 달려 있다.한
편
단백질이 대부분인 이러한 호르몬들을 유전공학적 기술로 쉽게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학자나 산업가들 사이에서는 남보다 먼저 어떤 특정 장기에 특정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호르몬을 찾아내고 ... ...
톱쿼크 발견 임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87년 처음 실험을 시작한 이래, 입자물리에 관계되는 여러 현상들을 측정하여 그동안 80여
편
의 논문을 낸 바 있다. 현재의 고에너지 물리 실험을 세계적으로 선도하는 그룹중의 하나이다.현재 이 실험에 소속된 전체 물리학자는 약 3백40여명이며 그중 약 10여명의 한국인 물리학자들이 미국 각 대학 ... ...
(3) 21세기 산업의 핵 인공호르몬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들여다볼 수 있게 해주었고 인슐린 유전자는 염색체 11번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한
편
인슐린 유전자는 췌장의 베타세포에서만 그 유전정보가 발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런데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에서의 인슐린과 인슐린 수용체 등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조사함으로써 당뇨병의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