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축산의 기초를 닦은 건국대 축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생화학 식품화학 미생물학 등의 기초학문을 바탕으로 농축산물의 이용에 관한
지식
과 발효공학 축산제조학 피혁가공학 등을 가르친다.1962년 국내최초로 설치된 낙농학과에서는 기계공업 전자공업등 기간산업과 함께 발전하고 있는 선진국의 낙농생산가공분야에 대한 과학적인 교육으로 ... ...
소리없는 재앙 20세기말까지 1백만종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넣는다면 금세기 말까지 지구상에서 사라질 생물은 1백만 종에 달할 것이다.생물에 대한
지식
이 보잘것 없었을 때에도 인간은 생물권을 급격히 변화시킬 힘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어떤 생물종이 인류에게 유익하게 이용될 지는 아무도 모른다. 사실상 그다지 필요치 않은 것처럼 보이는 생물종이 ... ...
신문구독 조사표를 작성해 보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따라서 무계획적인 프로그램 작성은 있을 수 없는 것이다.프로그램작성에 필요한 기초
지식
모든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면 다음의 단계를 거쳐 계획적으로 개발하여야 한다.업무분석 단계는 어떤 업무를 전산화하기로 결정이 나면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 ...
한일 기술격차 해소를 위한 제안 경직적인 예산운영 피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습득효과(learning effect by experience)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한국의 경우, 현재의 기술
지식
스톡수준이 낮고 자체기술개발능력이 부족한 상태하에서는 경험에 의한 습득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선진기술 모방속도와 국내기술 확산속도를 가속화시켜야 할 것이다.도입된 선진기술의 모방(즉 소화 및 ... ...
단일 종 연구에서 인간 참여까지 생태학의 진화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생태학이 궁극적으로 과학의 하나라는 점에서 의심의 여지가 없다. 물론 명확히 규정된
지식
체계와 세련된 방법론을 지닌 과학으로서의 생태학은 생긴지 얼마 되지 않는다. 하지만 생태학을 하나의 과학적 접근방식으로 본다면 그 기원은 대단히 멀리 거슬러 올라간다.생태학이란 낱말은 집 또는 ... ...
서일산업 정보기술연구소 설립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경영분석, 기업화 타당성조사, 시장 및 정보 조사, 신상품 개발동향 등에 관해 전문적인
지식
과 경험을 갖추고 있어, 정보이용자들이 원하는 관련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아주거나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역할을 맡게 된다. 또한 이 연구소는 20여명의 전문 조사위원을 확보하고 미국의 Dialog, ... ...
생명공학, 전자공학에 지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그럼 생명공학이 경쟁에서 뒤진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그것은 DNA에 관해 고도의
지식
을 쌓았음에도 세포의 생리단계 및 단백질연구가 대단히 어렵고 당초 생각했던대로 연구진척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학자들은 말한다.예컨대 Escherichia Coli 박테리움의 발생에 관해서는 충분히 밝혀졌지만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당장은 어리석을 지 모르지만 어렸을때 부터 공부한 것을 스스로 정리해서 깊이있는
지식
을 체계화 한다는 면에서 우수한 교육방식임에는 틀림없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이해할 것을 미리 다량으로 주입시키는 교육방식과는 출발선에서부터 다른 것이다.창작기술시대의 밑거름앞으로 ... ...
알버트 센트-죠르지 생명현상의 가장 광범한 연구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 열심히 생각해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것은 다만 집중적으로
지식
을 집어 넣는데 지나지 않다는 것이다."머리는 가만히 내버려 두어야 한다. 고기잡이를 가든지 잠을 자든지하는 동안 머리는 모든 것을 저절로 정리해서 결과를 얻게 된다. 나는 이런 방법으로 큰 문제를 ... ...
종합진단 기로에 선 선택-개발이냐 보존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짧은 시간에 일으키고 있다. 0.2초 동안 일으킨 환경파괴 인간에 필요한 영양소에 대한
지식
이 늘어나고 의약계의 혁명을 포함한 새로운 공중보건과 의료행위가 출현함으로써 인구는 놀랄만치 늘었다. 공업시대가 출발했던 1840년까지 인구의 증대는 완만해 지구상에 10억 인구가 살기까지 약 1백만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