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환기
싸이클
순환
자전거
주파수
사이클
과하기
d라이브러리
"
주기
"(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우주공간에 골고루 퍼뜨릴 뿐만 아니라, 가스나 먼지로 이루어진 성간물질에 충격을
주기
때문에 새로운 중력수축을 가능케해 별이 탄생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하여 생물학자들은 열심히 연구하고 있다. 초파리의 돌연변이종으로 그 개일리듬의
주기
가 19시간으로 정상에 비해 더 짧거나 28시간으로 더 긴 개일리듬을 갖는 표현형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의 기능은 아직도 수수께끼다.이와 같이 생체개일시계에 관한 유전자 수준의 ... ...
우유를 응고시키면 치즈가 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팬에 넣고 4시간 동안 두세요. 이렇게 하는 것은 효소가 활동하기 좋은 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서예요. 그 다음 이것을 27~32℃정도로 데우기 시작하세요.둘째, 가열한 우유를 저으면서 레닐라제를 조금만 넣어주세요. 그리고 온도를 37℃로 높이는데, 여러분! 여기에서 효소를 살리기 위해 긴장해야 ... ...
산업 디자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알아내는 것이 디자이너의 임무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어떤 기술이 필요한지 알아내어 기술혁신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도 디자이너의 역할 중 하나이다.이는 곧 산업디자이너가 제품의 조형을 위하여 과학기술과 조형예술의 조율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해야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이미 그가 받으리라는 사실을 그 누구도 의심하지 않고 있던 노벨상의 상금을
주기
로 결정했다.1921년도 노벨 물리학상 수상이 결정됐다는 전보는 1922년 11월 12일 밤 상하이에 머물던 그에게 도착했다. 상금 총액은 12만1천5백72크로네. 당시 기준으로 3만2천달러 상당의 이 돈은 이듬해 밀레바 모자에게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를 선보인다. 또한 '무지개 만'(Sinus Iridum)은 마치 진주 목걸이 같은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
주기
도 한다.월령 12~13일쯤 되면 달도 상당히 굵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달의 광도도 증가되어 배율이 적은 소형 망원경으로도 눈이 부시다. 따라서 전용 문필터(moon filter)를 써서 광도를 줄여 관측하는 것이 ... ...
유일한 푸른행성 지구의 생명체 지켜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같이 산소가 풍부한 것으로 변환돼 왔다. 최근 들어 우리는 지구의 대기층이 태양활동의
주기
변화나 혜성 등과의 충돌같은 우주공간에서의 영향과 인류의 활동들에 의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점차 알아가고 있다. 지구 대기층의 행성과 진화운석이나 달에서 가져온 샘플들의 방사선 측정을 통한 ... ...
'지워진 데이터'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저장해준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컴퓨터가 요구하는 대로 새로운 디스켓으로 갈아 넣어
주기
만 하면 된다. 백업명령에는 여러가지 선택사향(옵션)이 있는데 백업을 제대로 하려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한다./A 백업 디스크에 이미 백업돼 있는 파일에 덧붙여(APPEND) 새로운 파일을 추가로 백업한다. 백업 ... ...
위도따라 끊임없이 독특한 기류운동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중심으로 타원궤도를 그리며 공전함과 동시에 23.5°기울어진 회전축을 중심으로 24시간
주기
로 자전하고 있다. 이렇게 지구가 공전함으로써 계절변화가 생기고, 자전함으로써 밤낮이 교차한다. 이러한 계절변화는 태양의 남중고도(정오때 태양의 고도)에 변화가 있음을 뜻한다. 즉 각 위도별로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걸쳐 등산로에서 '산불조심'리본을 5만장, 쓰레기수거용 비닐봉지를 10만장이나 나눠
주기
도 했다.밀렵꾼의 총질이나 농약중독 등으로 죽어가던 새도 많이 구해냈다. 그동안 현지 주민들의 신고를 받고 달려가 병들거나 다친 새를 인수해다 구해낸게 1백50여마리 쯤 되는데, 이중에는 서울 대공원에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