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표면 정보를 이용하는 셈이다.투과식의 경우는 강력한 광을 과일에 쪼이고 광원의
반대
편에서 투과된 광을 모은다. 모아진 광은 반사식과 마찬가지로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그 성분의 양이나 내부의 이상상태를 알려준다. 내부성분의 평균적인 양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의 상태에 ... ...
갇혀있던 공기의 위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입구가 열리면 풍선은 안의 공기를 밖으로 밀어낸다. 이 반작용으로 풍선은 입구
반대
편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빨대와 실은 풍선 로켓이 직선 항로를 가도록 해준다. 실제 로켓이 연료를 아래로 분사하면서 위로 발사되는 현상도 같은 원리다.뚝딱 실험2 페트병 속 풍선 불기■ 왜 그럴까?!자연계에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산맥으로 둘러싸인 분지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기후이다대체적으로 해양성 기후와
반대
의 특색을 가지며, 기압과 바람 이외에는 어느 것이나 일변화 및 연변화의 양이 크다특히 기온은 낮과 밤 및 여름과 겨울의 한난(寒暖) 차가 매우 크다 대륙지역(대륙지각)의 면적이 지질시대를 통해 ... ...
인간의 협력관계 설명하는 물리학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항상 1로 정해져 있고, r은 은행에서 불려주는 재산의 증가비율이다)만큼 증가한다.
반대
로 배반자를 선택했다면 r$\frac{C}{N}$ 의 이득을 얻게 된다. 그러나 A가 게임에 참여하지 않고 불참자의 전략을 선택했다면 그의 재산 증가는 σ로, 주변의 전략분포에 상관없이 고정돼 있다.이렇게 게임을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이용해 기계와 서로 대화하듯이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 일괄처리의
반대
개념이며 사용자가 수시로 부분적인 결과를 볼 수 있어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된다 수력발전 방식의 하나 도수철관(導水鐵管)의 거리가 너무 짧아 큰 낙차를 얻을 수 없을 때 수로를 만들어 댐의 물을 ... ...
스스로 범인임을 드러내는 거짓말 행동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피가 몰리고 피부에 있는 모세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액 공급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반대
로 어떤 피의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범행사실이 드러날 때 피부 모세혈관으로 가는 혈액의 양이 증가해 얼굴이 빨개지는 경우도 있다.말할 때 억양이나 속도도 거짓말을 가려내는데 매우 중요하다. 연구에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문제에 대해 그는 대체에너지가 시원치 않으니까 원자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에
반대
한다. 오히려 대체에너지 개발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활로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그의 생활은 어떨까. 송 교수는 과학기술과 거리가 먼 편이라고 말한다. 사람들이 자신을 과학자로 오해하거나 과학적인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위해 다른 수컷과 싸우고 다시 다른 무리를 찾아 떠난다. 하지만 침팬지 집단에서는 정
반대
의 상황이 벌어진다.수컷 침팬지들은 그들이 태어난 집단에 남아 보호자가 되고 새로운 후손의 아버지가 된다. 반면 암컷은 다 자라면 출생집단을 떠나 새로운 집단에 들어간다. 같은 집단의 다른 수컷은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빛깔의 대비에 의한 착시현상도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밤에 자동차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달릴 때 운전자는 중앙선에 서있는 사람이 자동차의 불빛 때문에 잘 보이지 않는다. 또한 칠판의 글씨가 유리창으로 들어오는 빛에 반사돼 잘 보이지 않는 경우도 일종의 착시현상이다. 이때는 ... ...
생명공학이 주무르는 맛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이 연구를 통해서 어떤 물질의 맛이 수용체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과, 어떤 의미에서는 정
반대
의 맛인 단맛과 쓴맛의 경우 세포내의 신호전달 경로는 매우 유사하다는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다.분자수준에서 맛의 감지경로에 관한 수수께끼가 풀려나가는 동안, 한편에서는 현재까지 축적된 지식을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