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노벨상, 미시 세계를 탐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올해 노벨 과학상은 유례없이 작은 데 주목했다. 양자역학이 지배하는 초미시 세계(물리학상)는 물론, 세포 사이의 대화를 이어주는 메신저 센서 분자의 구조(화학 ...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
다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 ...
물리학상 - 양자컴퓨터 성큼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2012년 노벨 물리학상의 주인공은 머릿속으로만 생각했던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양자컴퓨터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광 ... 성큼 다가오다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
다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도서관에서 개념 없이 떠드는 얄미운 커플이 있다면? 점심시
간
종이 친 지 오래인데 수업을 안 끝내시는 선생님이 있다면? 일본 카즈타카 쿠리하라 박사팀이 만든 ...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
다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 ...
화성 표면에 하와이 암석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하고 있어 과학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냈다. 큐리오시티는 지난달 23일 이 암석을 이틀
간
분석했다. 알파입자X선분광계(APXS)를 이용해 암석의 원소를 파악하고, 화학 카메라 ‘켐캠(Chemcam)’으로 레이저를 쏘아 얻은 자료를 지구로 전송했다.분석 결과 제이크의 구성 성분이 하와이 근처에서 발견되는 ... ...
지구를 살리는 젊은 에너지!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4월 전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참가신청을 받아 447팀, 842명으로 출발한 대회는 약 한 달
간
, 1차와 2차에 걸친 심사를 통해 본선 진출 29개 팀을 선발했다. 본선 진출 팀은 한화그룹의 지원 속에 6월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올해 노벨화학상은 로버트 레프코위츠 미국 듀크대 의대 교수와 브라이언 코빌카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둘 다 의대 교수인데다 ... 다가오다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
다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말 국내 처음으로 수달 똥의 DNA를 분석해 대구 지역 수달의 개체수와 암수 구별, 개체
간
관계 등을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 수달은 현재 1급 멸종위기 동물로 하천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다(최상위 포식자의 생태 복원이 지니는 의미는 94~95쪽 Bridge 인포그래픽에서 살펴보자). 연구 결과 대구 시내의 ... ...
Part 3. 에너지드링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복합적으로 화학 반응을 일으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또 장기
간
꾸준히 마시면 어떤 결과를 낳는지 궁금증은 꼬리를 물었다. 이쯤 되면 직업정신이라기보다는 에너지드링크 한 캔을 두고 마셔야 할지를 고뇌(?)하는 소심함의 극치다(실제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 ...
GMO 안전성에 빨
간
불?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GMO와 라운드업 제초제 때문에 성호르몬에 불균형이 일어난 게 원인이었다. 수컷에서는
간
울혈(출혈이 일어나는 증상)과 괴사가 대조군에 비해 2.5~5.5배 높게 나타났다. 신장병도 1.3~2.3배 많았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큰 종양도 4배 많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이런 일이 일어나는 원인으로 삽입된 ... ...
흠집 스스로 고치는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전혀 다른 일이 벌어졌다. 틈새에 끼어든 입자가 사방에 압력을 가해 결정을 만드는 입자
간
거리가 재조정된 것이다. 그 결과 원래 있던 흠집이 ‘스스로’ 사라졌다.연구팀은 “각광받는 전도체인 그래핀에는 항상 결점이 있어 문제였는데, 이 기술로 순도 높은 고전도성의 그래핀을 만들 수 있게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