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화폭에 펼친 명장의 솜씨
과학동아
l
200605
등 여러 전공이 결합한 융합 학문이다. 그래서 연구실에는 다양한 분야를 전공한
대학
원생들이 있다.“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엔 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합니다. 여러 분야의 학생들과 함께 토론하면서 문제 해결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큰 즐거움이죠.”최 교수는 일이 잘 풀리지 않을 ... ...
꺼진 연구 불 지핀 톰슨과 크롤
과학동아
l
200605
스코틀랜드의 한 소작인 아들로 태어났다. 학문과는 거리가 멀고 가난했던 탓에 크롤은
대학
은 커녕 공부조차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는 우선 먹고 살기 위해 목수가 될 결심을 하고 견습공이 됐다. 그러나 어릴 적 다쳤던 왼쪽 팔꿈치가 사용하기 힘들 정도로 뻣뻣해지자 그마저도 중단했다.실의에 ... ...
교육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0605
가장 많이 진출한 경우는 공학 계열의
대학
생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4년제
대학
생 중 2005년 취업한 전체 인원은 17만9075명으로 이 중 대기업에 취업한 인력은 3만1193명으로 17.4%에 해당한다. 특히 대기업 진출 비율이 가장 높은 학과 10개 중 9개가 공학 계열이었으며, 1위에서 6위까지가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개발했답니다. 로봇물고기의 개발은 최근에 이루어졌어요. 1995년 미국 매사추세츠공과
대학
교(MIT)에서 개발한 ‘찰리’가 세계 최초의 로봇물고기지요. 이후 미국은 로봇참치Ⅱ, 로보파이크, 드레이퍼참치 등 다양한 로봇물고기를 만들어 냈어요. 일본의 경우 장난감 로봇물고기의 연구가 활발하게 ... ...
우리의 적 비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비만에 대한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순천향
대학
교 의과
대학
소아과 이동환 교수를 만났어요. 비만은 왜 생길까요? 여러분의 주위를 한번 둘러보세요. 쉽고 빠르게 먹을 수 있는 패스트푸드점이 널려 있지 않나요? 대부분의 패스트푸드는 기름지고 열량이 높기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04
기술자 사진용 인화지 벨록스, 합성수지 베이클라이트의 발명으로 유명하다 21세 때 겐드
대학
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가르쳤다 1889년 미국의 초청을 받아 사진필름 인화지 제조회사에서 2년 동안 연구했다 작은 온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수은온도계 독일의 화학자 E O 베크만이 ... ...
세계 과학도를 품에 안은 중립국 스위스
과학동아
l
200604
하다. 이제 볼로냐 개혁으로 석사과정 이후부터는 강의가 영어로 진행된다.스위스
대학
학장회의의 수잔 오베르마이어 씨는 “올 가을 신학기에는 최초로 모든 학생들이 볼로냐 개혁으로 개편된 새 교육체계로 입학하게 된다”며 “2011년이면 스위스에는 옛 교육체계에서 공부하는 학생이 없을 ... ...
요금내리면 휴대전화 얼마나 쓸까
과학동아
l
200604
휴대전화 요금을 인하하라고 거세게 요구했을 때였다. 필자가 속한 KAIST 테크노경영
대학
원 예측연구실은 한 이동통신사로부터 연구의뢰를 받았다.엄마의 잔소리에 따라 오르락내리락의뢰내용은 요금을 과연 얼마나 인하해야 하며, 그러면 매출이 얼마나 감소할 것인지를 예측하는 것이었다. 혹시 ... ...
성폭행범 귀에 경 읽기
과학동아
l
200604
도입했다. 강간 혐의로 수감된 재소자 5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경기대 이수정 교수와
대학
원생 3명은 상담자로 프로그램 진행을 맡았다.이 프로그램은 재범방지를 위한 심리 치료로 매주 1회 2시간씩 모두 10주 동안 집단 상담으로 진행된다. 기자가 방문했던 날은 세 번째 모임이었다.지난 두 ... ...
한 길 사람 속, 이제 단면으로 본다 절단영상
과학동아
l
200604
모아 재구성하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방법은 실제로 의과
대학
학생과 의사가 해부학을 공부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2003년 아주대 의대에서 미국보다 더 좋은 연속절단기와 높은 해상도의 디지털사진기를 써서 연속절단면영상을 만들었다. 이것은 소프트웨어로 제작돼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