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스페셜
"
새로운
"(으)로 총 3,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년이 걸리고 1조원을 투자해야 한다. 그런데 제약사들이 이미 안전성 임상을 마친 약물은
새로운
용도만 찾기만 하면 신약으로 출시되는데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현재 제약업계는 이런 실패작 약물을 3만 여 가지나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약물 재활용에 기대를 거는 또 하나의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생물다양성 세계지도에 작은 점을 찍는데 불과했다. 반대로 우즈의 고세균 발견은
새로운
대륙을 발견한 것과 같다.” 이렇게 좋은 말로 시작하지만 곧 본색이 드러나 “여기서 우즈가 생물학자로 교육을 받지 않았고 따라서 분류의 원리에 대해 친숙하지 않다는 걸 기억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소비를 기준으로 해야 하고 하루빨리 석탄에서 천연가스로 주에너지원을 바꿔야하고
새로운
에너지 기술을 개발할 수 있게 정책을 펴야 한다는 것. ‘네이처’ 1월 3일자에는 기후변화를 늦추는데 기술보다는 정책이 더 중요하다는 맥락의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21세기 동안 온도상승(산업혁명 이전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많다. 유전자가 중복되면서 어떤 특성이 강화될 수도 있고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
새로운
기능을 획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불필요해져 퇴화하는 경우도 많다. 빵밀 역시 엠머밀에 비해 수확량도 많고 밀알의 조성도 부드러운 빵이 나올 수 있게 바뀌었다. 논문에 따르면 빵밀의 유전자는 ... ...
소리없는 살인자, 방사성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사태가 진정 국면에 접어들면서 방사선에 대한 우려도 누그러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새로운
원전 계획을 발표하기라도 하려면 여론의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체르노빌의 파괴적인 재앙을 겪고도 방사선과 원자력 관련 연구는 꾸준하게 진행됐으며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 ...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23
것이다. 그 방법은 과거에 자신의 아이디어와 유사한 것을 찾아내어 이를 개발한 후
새로운
개발이 현실적으로 접목될 수 있도록 제반 부수 기술도 함께 개발해야 실용화된다는 것이었다. 바로 그런 종합적인 기술을 개발한 사람에게 공이 돌아가고 그에 따른 부를 얻을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은 ... ...
제3세대 기업가정신과 소셜벤처 육성 전략
KOITA
l
2013.04.23
컨설팅을 수행하면서 대학, 연구기관, 대기업, 벤처기업 등의 기술 생태계와 연계하여
새로운
기회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현실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이들이 벤처생태계의 기술 및 지원 인프라와 지원제도 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략) 소셜벤처는 시장원리를 이용하여 ... ...
초고령화시대에서 新시장 찾다…“ICT·BT 융합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13.04.08
짧고 발전돼 있는 IT와 수명은 길지만 아직 많은 발전을 이루지 못한 BT가 융합해야
새로운
일자리와 신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면서 “특히 보건의료기술은 국민행복과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기술로 우리가 소명감을 가져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 참석한 민병주 새누리당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발가락 개수가 줄어드는 방향(최종적으로 발굽이 됨)으로 이뤄졌다는 막연한 지식에
새로운
정보를 하나 둘 보태다보니 얘기할 게 많아져, 결국 ‘과학동아’ 2012년 8월호에 말을 기획으로 다룰 때 필자가 가장 흥미롭다고 생각한 내용을 (구성상) 포함시키지 못하는 상황까지 됐다. 바로 ... ...
“대한민국 이종이식 연구, 9년 간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13
나왔다. 서수길 인제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는 “종근당과 5년간 공동연구하면서
새로운
면역억제제를 개발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장기이식에서 오는 면역반응을 해결할 수 있다면 의료성과는 물론 큰 산업적 가치도 얻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심호섭 단국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도 “한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