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빛"(으)로 총 3,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재 앵무새의 마지막 한 마디 “사랑해”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돌지만 우리는 느끼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죠. 다행이네요. 어쨌든 당신 이름처럼 ‘다이내믹’하게 움직이니 정말 멋져요. 에헴~! 햇빛에 영롱히 반사되는 내 모습을 보면 누구든 반하지 않을 수 없죠. 게다가 안에 있는 사람은 계속 다른 경치를 보게 되니 일석이조죠. 오호홋~. 그렇게 각 층을 빙빙 돌리려면 에너지를 엄청 많이 써야 할 텐데요. 무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1)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흐름을 바꿔 놓지. 아휴, 얼굴 표정을 보니 도통 못 알아듣겠단 표정이군. 괜찮네. 다만 우주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갖는 것은 빛이며, 빛의 속도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 정도는 기억해 두게. [소제시작]니들이 물질을 알아?[소제끝] 생각해 보니 지금도 뉴턴의 운동법칙 속에서 살고 있고, 오늘날의 통신 장비들은 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에서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한국 최조 우주인 고산 형이 우주에 가서 할 임무는 과학실험이었어. 나도 참 바보 같았지 뭐야. 우리별은 50광년이나 떨어져 있어서 빛의 속도로 50년이나 가야 하는데 괜한 걱정을 한 거지. 하지만 그 덕에 한국 최초 우주인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지 뭐.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아직도 궁금한 게 있다고? 언제 또 우주인을 선발하는지, ...
- 붉은 보름달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한다. 초저에너지 건물은 스스로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한다. 옥상이나 건물 외부에 태양전지나 풍차를 달아 전기를 만들고 햇빛으로 물을 데워 건물 안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외국에는 벌써 온수를 100% 태양열로 만드는 빌딩도 등장했다. 더운 여름에 전기가 가장 많이 드는 곳은 냉방이다. 초저에너지 건물은 자연 바람을 건물로 끌어와 열기를 ...
- 종이로 만든 반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070831
- 유명한 별이 있어요. 이 별이 혜성처럼 긴 꼬리를 갖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어요. 꼬리 길이가 무려 13광년이나 된대요. 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니까 얼마나 긴지 상상이 되나요? 지구와 태양의 거리가 광년으로 치면 8분이 조금 넘어요. 마이라는 지구에서 350광년 떨어진 고래자리에서 초속 130㎞로 우주를 항해하고 있어요. 이 ...
- 반짝 별똥별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070831
- 진정한 매력을 알게 된 민엽이. 민엽이가 별박사가 되고 싶다는 말에 누구보다 반가운 건 한결이다. “별이나 유성을 관측하려면 불빛이 없고 주변이 트여서 별이 잘 보이는 곳이 좋아. 올해 유성우는 겨울이 되어야 오니까 그 전에 별자리를 찾고 관측하는 걸 함께 해 보자.” “좋았어! 페르세우스자리 옆에 보이는 W 모양이 카시오페이아자리지?” 벌써 ...
- 괴물동물원 비밀노트(1)어린이과학동아 l20070810
- 길이 8m, 촉수 5.5m짜리 대왕오징어가 바다 속을 헤엄치는 모습을 처음으로 포착했다.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다리에 있는 촉수에서 빛을 쏘아 보내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심해에서 사냥을 한다고 한다. 최근에는 길이 10m, 무게 450㎏의 대왕 오징어가 남극에서 잡혀 나의 가슴을 설레게 했다. 국립수산연구원 김영승 연구관은 “보통 오징어의 수 ...
- 켁! 기절시기는 게 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070731
- 파괴되면 되살릴 수 없답니다.” “뇌세포가 파괴되면 머리가 나빠지나요?” 이제야 슬슬 걱정이 되는 기절놀이 어린이들. 떨리는 눈빛으로 닥터고글을 바라본다. “머리가 나빠지는 건 당연지사! 기절놀이를 하면 기억력과 집중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심장, 간, 신장 등 주요 장기와 척추로 가는 산소가 줄어들어 몸 전체를 망칠 수 있지. 자칫하면 목숨까 ...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70731
- 직진하지만 물을 만나면 꺾여(굴절). 유리컵 속에 담긴 젓가락이 꺾여 보이는 것이 빛의 굴절 때문이지. 햇빛이 물방울을 만나면 빛은 한 번 꺾인 뒤 특정한 각도로 물방울에서 되돌아 나와. 빨간 색은 약 42도, 보라색은 약 40도 벌어져 물방울에서 나오지. 무지개는 보통 비가 오고 난 뒤 태양을 등지고 선 자리에서 볼 ...
- 넷째 손가락 길면 수학 잘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070613
- 이용해 발전소를 지으면 물만 있어도 인류가 영원히 쓸 수 있는 에너지가 나온다. 태양을 비롯한 모든 별은 바로 핵융합을 이용해 빛과 열을 내고 있다. 핵융합이란 과연 무엇일까? 이 세상의 모든 물질을 더 이상 자를 수 없을 정도로 자르면 원자가 된다. 원자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이뤄져 있다. 태양처럼 가운데에 있는 것이 원자핵이고 지구처럼 원자핵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