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중앙대 의대 김승업 교수팀은 줄기세포로 루게릭병에 걸린 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데
성공
했다는 연구결과를 유전자 치료 관련학술지 ‘진 테라피(Gene Therapy)’ 8월호에 발표했다. 루게릭병에 걸린 쥐의 척수에 ‘혈관신생인자(VEGF)’ 유전자를 넣은 인간 신경 줄기세포를 이식한 결과 루게릭병 ... ...
혈액형 진실게임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우리나라도 혈액형에 대한 관심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 ‘혈액형 인간학’, ‘혈액형별
성공
법’, ‘혈액형에 따른 사랑고백법’, ‘B형 남자’, ‘혈액형 정치학’, ‘혈액형 심리학’ 등 혈액형과 관련한 서적이 서점과 편의점에 깔려 있다. 입사지원서에 혈액형을 적어 넣으라는 회사도 있다고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한다”고 지적했다. 큰그림 보러가기내년 5월 다시 발사정부는 이번 발사가 부분적인
성공
이라고 자평한다. 로켓은 제대로 날아갔지만 비행의 마지막 단계인 위성 궤도 진입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그렇게 불러야 한다는 논리다.하지만 로켓의 최종 목적이 달성되지 않은 상황에 대해 ... ...
수학, 보안에 날개를 달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관리하는 기업인 ㈜파수닷컴에 부사장으로 있다.보안전문가에서 경영자 자리까지
성공
가도를 달릴 수 있었던 비밀은 무엇일까. 바로 수학에 있다. 뜬금없는 소리라고? 못 믿겠다면 산증인인 안 부사장이 말하는 ‘보안전문가의조건’을 들어 보자. 첫째는 빠른 이해력이다. 통신기술은 컴퓨터,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수컷이다.국립축산과학원 박수봉 동물바이오공학과장은 “지노에 이어 지노2 생산에도
성공
한 것은 알파갈 합성효소 유전자 제거 기술이 안정화됐다는 의미”라며 “지노2와 지노가 자라 8~14개월이 되면 정액을 뽑아 미니돼지 암컷과 인공수정을 해 알파갈이 제거된 장기이식용 미니돼지를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위해서다. 전문가들은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을 때가 잡아먹지 않을 때보다 수정에
성공
할 확률이 더 높다고 설명한다.또 다른 치명적인 짝짓기가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주머니쥐 일종인 안테키누스(Antechinus agilis) 수컷은 7~8월이 되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과다하게 분비돼 짝짓기에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5m까지 줄이는 데
성공
했다. 또한 공동연구팀은 이 물질 안에 빛을 잠시 동안 가두는 데도
성공
했다.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그해 1월 물리학 분야의 권위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PRL)’에 실렸으며 ‘네이처’와 ‘사이언스’에도 소개됐다. 학계에서는 EIT를 산업에 응용할 수 있는 토대를 ... ...
세포의 꿈틀거림까지 영상에 담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지난해 동영상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일안반사식카메라(DSLR)가 등장하면서 DSLR의 표준이 바뀌고 있다. 올해 출시된 웬만한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 융합을 통해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믿고 있는 송 교수는 바이오광학영상센터의
성공
여부도 학제간 협동연구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 중 미니돼지로는 미국 미주리대 연구팀에 이어 한국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성공
했다.돼지 심장 넣은 원숭이 179일 살아지노와 지노2에 이은 다음 연구는 같은 방식으로 만든 암컷 미니돼지와 여러 차례의 번식과정을 거쳐 알파갈 유전자 두 개가 모두 제거된 돼지를 얻는 단계다. 그러나 시간이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폴 박사는 근접장스캐닝광학현미경(NSOM)을 만들어 아베의 법칙을 극복한 상을 얻는 데
성공
했다. 하지만 NSOM은 렌즈를 이용해 상을 얻는 방식이 아니라 한 번에 한 점의 소멸파 데이터를 측정해 이를 모아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게다가 장치가 복잡하고 민감해 제대로 된 데이터를 얻기가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