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사람 없이도 움직이는 배라니, 굉장해! 나 때는 말이야…, 저렇게 큰 배를 움직이려면 일단 이~만한 줄로 닻을 매달아서…, 어? 저기 좀 봐! 우리 때처럼 굵은 줄을 둘둘 말고 있는 선원들이 있어. 어? 그런데 왜 저 줄을 바닷속에 집어넣지? 몽골에서 만든 전기, 한국에서 쓴다! 우리가 쓰는 ... ...
- [화보] 뷰티 오브 사이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볼록한 조개 위로 보글보글 거품이 올라오고 있어요. 조개가 숨이라도 쉬는 걸까요? 이 사진은 중국과학기술대학 얀 리앙 교수가 찍은 사진이에요. 화학 실험을 하는 과정을 사진으로 찍어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거예요. 으잉? 지루하기만 한 화학으로 어떻게 예술을 한다는 걸까요?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저장하려 하기 때문에, 광합성을 많이 할수록 맛있고 큰 토마토를 얻을 수 있지요. 교수팀은 MEMS를 줄기의 물관에 꽂아 물관을 지나는 비료와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해요. 비료는 전기를 띠기 때문에 MEMS가 측정하는 전류의 크기가 클수록 비료가 많다는 의미예요. 또MEMS는 열을 발생시킨 뒤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손상되었음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를 주도한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마이클 델프 교수는 “눈뿐만 아니라 다른 신체 부위 손상을 막기 위한 연구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2 우주에서 재활용을 할 방법을 찾아라! 일반적으로 네 명의 우주인이 1년 동안 ISS에서 생활하면서 배출하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쓸 수 있지요. 하지만 양이 너무 적어서 그동안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지요. 류 교수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녹조 세포들을 규칙적으로 배열해 하나의 얇은 세포필름을 개발했어요. 그리고 세포에 찔러 넣을 수 있는 나노 크기의 전극을 촘촘히 박아 기판을 만들었지요. 이후 ... ...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멋진 작품은 사시 덕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다빈치는 3차원 공간이 마치 평평한 캔버스처럼 보였겠지요. 한편, 크리스토퍼 타일러 교수는 “다빈치는 오른쪽 눈 덕에 정확한 명암을 표현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1982년 미국의 심리철학자 프랭크 잭슨은 ‘매리의 방’ 생각 실험을 고안했어요. 실험은 이렇습니다. 매리는 색깔에 알레르기가 있어요. 그래서 줄곧 흑백 방에 갇혀 살며 단 한 번도 색깔을 본 적이 없지요. 심지어 흰 우유와 흰 쌀밥과 같은 무채색 음식만 먹고 살 정도였답니다. 다행히 매리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가득 채우면 물이 사라지는 마법의 잔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도움을 받으면 가뭄과 같은 나쁜 환경에서 잘 견딜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도티 교수는 중력이 작은 공간에서도 미생물이 식물에서 잘 성장할지 확인할 예정이에요. 지금까지 ISS에서 여러 농업 실험이 이뤄졌지만 미생물을 이용하는 연구는 처음이랍니다. 메마른 땅에 물을! ... ...
- 노벨화학상, 생물로 단백질 공장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답니다. 바이러스를 이용한 단백질 공장한편 스미스 교수는 바이러스를 이용해 원하는 유전자와 단백질을 찾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이 기술은 ‘박테리오파지’라고 불리는 바이러스가 특정 단백질을 표면에 내보이도록(디스플레이) 만든다는 뜻에서 ‘파지 제시법’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