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팀"(으)로 총 4,829건 검색되었습니다.
- 85년 레고, 현실과 디지털의 다리를 놓다 동아사이언스 l2017.07.10
- 신상이 노출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는 ‘안전한 SNS’를 지향합니다. 전담 모니터링팀이 24시간 게시물을 관리한다고 합니다. 지난 1월 북미와 유럽에 먼저 선보였고, 이번에 최적화 과정을 거쳐 국내에도 출시되었습니다. 레고 부스트는 레고와 코딩을 결합한 제품입니다. ‘만들고, ... ...
-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 오리엔테이션 열려어린이과학동아 l2017.07.08
- '메이커 정신'을 기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메이커 프로젝트에 참여한 리즈 팀의 이원재 학생은 “내 아이디어가 어떤 작품으로 만들어질지 너무 기대된다”면서 “앞으로 직접 기획한 쓰레기통이 등산로 옆 물가에 설치되면 개구리와 수서곤충, 가재 등 물에 사는 동물들이 더욱 ... ...
- [진단, SW 교육 ③] 소프트웨어 교육 격차를 줄이자2017.07.05
- 다만 사회적인 편견과 적절한 기회가 제공되지 않을 뿐이다. 오히려 구글 내에서는 한 팀이 남성으로만 구성됐을 때보다 여성 개발자가 참여했을 때 생산성이 훨씬 좋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김슬기 안산 선부초 교사 : 정보 교육은 정보 격차를 메울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다. 초등 교육은 ... ...
- 길바닥 인쇄한 이색 옷, 소품팝뉴스 l2017.07.03
- 작업을 완성하였다. 5월 초까지 유럽 전역을 순회할 계획이라는 ‘라웁드루케린’ 팀은 독일의 베를린은 물론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그리스 아테네, 프랑스 파리, 포르투갈 리스본 도심 곳곳에서 수집한 디자인들을 통해 특정 도시의 정취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흔히 지나칠 수 있는 ... ...
- 타조가 빠른 이유...두 개의 무릎뼈 때문?동아사이언스 l2017.07.03
- 비교 분석해 2014년 12월 생물학 학술지 ‘피어제이(PeerJ)’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연구팀은 평균적으로 대퇴골의 길이가 30㎝일 때, 먼쪽 슬개골이 5.6㎝ 정도로, 슬개골 크기가 대퇴골의 18% 정도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레그너트 연구원은 2017 실험생물학 연례회의 발표에서 “이후 진행된 ... ...
- 해부하지 않고도 실험 동물 변화 알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06.28
- 단 한 마리 사례를 보기 위해서라도 각 주마다 쥐를 한 마리씩 희생시켜야 한다. 연구팀은 초전도 양자 간섭 소자(SQUID)를 이용했다. SQUID는 현존하는 자기장 측정 센서 중 가장 민감도가 높은 소자다. 이 소자를 작게 만들고, 밀집시켜 배치했다. 센서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게 하고, 센서와 측정 동물 ... ...
- 언어능력 결정짓는 유전적 요인, 뇌신경세포 밖에도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06.28
- 박사(영년직연구원)팀과 이화여대 뇌인지과학연구소의 류인균, 김지은 교수팀이 공동으로 뇌의 성상세포(별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아쿠아포린4’ 유전자가 언어능력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아쿠아포린4 유전자가 많이 발현된 사람일수록 언어능력과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동아사이언스 l2017.06.26
- 그중에서도 특히 어느 장소에든 빠짐없이 등장하는 대원이 있어요. 바로 ‘준형제’ 팀의 손예준(서울 상현초 3) 대원! 예준 대원은 지금까지 모든 생물종 현장교육에 참가했답니다. 정말 대단한 기록이죠? 그 비법을 예준 대원에게 직접 들어봤어요~. ● 현장교육에 열심히 참여하는 이유가 있나요?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2017 릴레이 강연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7.06.24
- 사진을 직접 찍어와 함께 이야기 하는 시간도 가졌다. 지구사랑탐사대 라이노비틀즈 팀의 곽수진 학생(서울 삼선초 6)은 “논에서 모를 잡고 노래하는 수원청개구리를 보고 귀엽다고 생각했는데, 서식처를 잃으며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자세라고 하니 충격이었다”며, “앞으로 수원청개구리 ... ...
- 빛을 이용한 단백질 활성화 속도 10배 높였다동아사이언스 l2017.06.23
- 허원도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그룹리더(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청색광에 반응하는 단백질인 ‘크립토크롬2(CRY2)’의 일부 구조를 변형해 ‘CRY2클러스트’를 개발, 기존 대비 10배 빠른 반응속도로 단백질 군집을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세포막 ... ...
이전3193203213223233243253263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