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뉴스
"
게재
"(으)로 총 3,80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저항 없는 ‘초전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였다
2016.08.16
철 화합물 초전도체의 표면에 칼륨을 뿌릴 때 전체 임계온도가 변하는 양상. 칼륨을 6% 주입할 때 가장 임계온도가 높다. - IBS 제공 경제성을 높인 초전도체 개발 기술이 나왔다. 김창 ... 열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1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 ...
3일 이상 잠 부족하면 커피도 소용무
과학동아
l
2016.08.12
GIB 제공 3일 이상 수면 시간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카페인 음료를 마셔도 각성효과가 떨어진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증명됐다. 미국 월터리드미육군연구소(WRAIR) 트레이시 도티 연구원팀 ... 카페인도 소용없 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수면 관련 학술지 ‘슬립’ 7월호에
게재
됐다 ... ...
모기에 놀란 백혈구가 바이러스 키운다
과학동아
l
2016.08.11
GIB 제공 흔히 모기에 물린 부위를 긁으면 상처 때문에 바이러스가 잘 침투한다고 알고 있다. 영국 리즈대 클리브 맥킴미 교수팀은 침투한 바이러스가 모기에 물린 부위에서 ... 수백 가지 바이러스의 대처 방안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면역’ 6월 21일자에
게재
됐다 ... ...
국내 연구진, 세계적 면역학 저널에 ‘리뷰논문’
게재
2016.08.10
석학이 해당 분야의 전반적인 내용을 총정리하는 형태다. 연구진은 이번 리뷰 논문
게재
가 국내 면역학 연구의 우수성을 입증한 결과로 보고 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A형, B형, C형 간염의 특징을 비교했다. 그 결과, 난치병으로 구분하던 B형 간염의 치료제와 C형 간염 예방 백신을 ... ...
줄기세포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6.08.09
Pixabay 제공 국내 연구진이 줄기세포의 분화를 조절할 수 있는 핵심 물질을 발견했다. 줄기세포는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어 ‘만능 치료 세포’로도 불린다. 윤홍 ...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자매지인 ‘셀 메타볼리즘’ 7월 28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 ...
반도체 제작 걸림돌 ‘빛 번짐’ 잡았다
2016.08.08
빛의 회절과 간섭을 역이용해 3차원 환형 나노구조체를 구현한 모습.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정밀 반도체 회로 같은 미세 패턴을 만들 때 걸림돌이 됐던 빛의 회절과 간섭 현 ...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 2일 자 표지 논문으로
게재
됐다. ... ...
항암제 효과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2016.08.03
항암치료 장애물 ‘스트레스 과립’의 생성과정. - 한국연구재단 제공 항암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과학적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온탁범 조선대 의대 교수팀은 항암 ...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7월 6일 자에
게재
됐다.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확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저널 ‘사이언스’의 7월 8일자에 표지논문을
게재
한 박성진 미국 하버드대 바이오엔지니어학과 연구원은 “같은 논문이라도 표지에 실리면 더 많이 읽히므로 내 연구를 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앞으로 연구비를 수주받는 데도 간접적인 ... ...
이직을 생각하고 있다면 휴가철, 이렇게 보내보자
2016.07.31
훌륭한 수단이 되었다. Linkedin의 경우 경력회사와 주요 업무, 졸업한 학교와 전공 등을
게재
하기 때문에 그 사람의 업무 경력을 알 수 있다. 최근에는 각 기업 리크루팅 담당자가 Linkedin을 검색해 직접 연락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때문에 이직에 대해 어느 정도 고려하고 있다면 상세하게 ... ...
‘제2의 지구’ 탐색프로젝트로 외계행성 2개 찾았다
2016.07.29
두 번째로 발견한 외계행성에 관한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에
게재
승인을 받았다. 두 행성은 지구보다 지름이 크고 가스층으로 이뤄진 ‘목성형 행성’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행성과 중심별 사이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와 비슷하지만, 중심별의 온도가 태양의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