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별자리를 보고 그뒤를 따르는 가을 겨울의 별자리를 계속 볼수 있는데, 새벽녘 동쪽
하늘
까지 관측한다면 어느 별자리까지 볼 수 있을까? 해뜨기 1시간 30분 전까지는 관측이 가능하므로 태양보다 적경이 1시간 30분 작은 천칭자리(적경 15시30분)까지 볼 수 있을 것이다.이렇게 계산하는 방법은 태양도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이와 같은 천구의 조합으로 천체의 복잡한 주기적인 운동이 잘 설명 됐다. 어떤 구는
하늘
의 겉보기 운동을 설명했고 회전주기가 서로 다른 구를 가정해 행성의 운동에 관한 주기적 현상을 설명했다.그는 27개의 천구를 사용해 행성과 천체의 운동의 주기성을 설명했다. 관측이 불어나 주기적 현상이 ... ...
세계 최대 어레이 전파 망원경 운영 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기지를 두고 있다. 두 접시의 최대 거리가 8천㎞라는 것은 한 대의 망원경에서
하늘
에 떠 있는 같은 대상을 8천㎞를 건너서 볼 수 있다는 의미. 이 망원경에 의해 기록되는 전파 신호는 천체 이미지를 만들도록 소코로의 대형 컴퓨터로 보내진다.이 VLBA 전파 망원경은 천문학자들이 퀘이사의 핵에서 ... ...
밤
하늘
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곳을 말한다. 이 축이 맞지 않았을 때 장시간 가이드 촬영을 하면 가이드 별을 중심으로
하늘
의 별이 회전한 것 같은 사진이 된다.카메라와 망원경을 조합카메라 렌즈만으로 천체사진을 촬영 하려면 초점거리가 너무 짧아서 천체의 세밀한 부분을 표현할 수 없다. 또한 집광력이 작으므로 어두운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그친다. 또한 새들은 다양한 몸짓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한다. 만약 새들이 갑자기
하늘
로 획 날아가거나, 땅 위를 바삐 뛰어다니거나, 부리를 하품하듯 크게 벌리거나, 날개 깃을 편다면 여기에는 그의 특정한 의사가 담겨 있다고 보아야한다. 놀랍게도 새 들중 일부는 자신의 감정을 외부에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오리온을 쏘게 하였다. 오리온을 죽인 아르테미스는 이를 후회하여 전갈과 오리온을
하늘
로 보냈다.오리온 성좌는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보이며 베델기우스와 이중성인 리겔과 같이 밝은 별을 가지고 있다. 오리온의 칼은 그의 허리춤에 걸려 있는데, 그 칼의 중심에 있는 별이 우리 은하계에서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발견된 산개성단의 수는 약 6천 광년 이내의 거리에 있는 4백여개다.그중 여름의 남쪽
하늘
의 은하수는 산개성단의 보고이다. 산개 성단의 90%이상이 은하면에 집중되어 있고, 성간물질로 이루어진 산광성운으로 두껍게 쌓여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산개성단은 우리나라에서는 '좀생이별'이라고 부르는 ... ...
가상현실시스템 의료분야에 응용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동원한 것이 이른바 '가상현실 상자 정원'. 우선 1백인치 정도의 스크린에 평탄한 지형과
하늘
이 나타난다. 환자는 이 지형의 색을 녹색 갈색 회색 푸른색 중(이들 각각의 색은 생물체 암석 모래 물의 세계를 상상시킴) 하나를 선택해 자신들이 좋아하는 지형을 만들어간다. 환자들이 쉽게 지형을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발견되었다. 대마젤란은하는 소마젤란 은하(SMC, Small Magellanic Cloud)와 함께 남반구의 밤
하늘
을 장식하고 있는데 물론 우리나라에서는 둘 다 보이지 않는다.이 은하의 X선을 내는 천체들인 LMC X-1과 LMC X-3도 블랙홀을 가진 쌍성들로 판명되고 있다. 대마젤란 은하는 소마젤란 은하와 함께 우리 은하를 ... ...
지구위치측정시스템(GPS)이용, 화산피해지역 복구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아니라 대규모 측량기술에도 활용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고대의 순례자들은 밤
하늘
의 별의 위치를 통해 갈 길을 찾았다. 그런데 과학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갈 길이나 자신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다시 별을 바라보는 일이 생기고 있다.물론 '별'이라 하더라도 고대인들이 바라다본 별과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