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Are We Having Babies All Wro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당신은 문제가 있을 때 그것을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하고, 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도와
줄
수 있어야 겠지요.제 생각에 당신은 책의 제목을 ‘산파들은 중요하다’라고 짓고 싶어했을 것 같은데요.출산이 중요하다면 산파들도 중요하지요. 유럽에서는 제왕절개의 비율이 10% 미만인 병원들이 ... ...
Part 1. 꿀벌 여왕의 독백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미지의 복합적인 원인이 낳은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진단하고 피해를
줄
이는 데 더 관심을 기울이는 편이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의 죽음Part 1. 꿀벌 여왕의 독백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Part 3. 꿀벌 없는 ... ...
반지의 선택 그린랜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메트로폴리스에 있는 데일리 플래닛 신문사로 들어가 로이스 레인과 만나 사랑에 빠질
줄
’ 알고 자리에 앉는다. 단지 ‘내가 아는 그 사람이’ 어떻게 재창조되었을지 궁금해 하며 영화관에 들어서는 것이다.빈약한 상상력이 원작 망쳐하지만 그린랜턴은 이런 기대에 못 미친다. 영화는 만화에 ... ...
수학으로 고대인구 계산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호주 원주민의 모습]선사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인구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최근 크리스토퍼 존슨 호주 태즈매니아대 교수는 선사시대의 인구를 계산할 수 있 ... 지적도 있지만 이 모델을 쓰면 홀로세에 살았던 비농경민 인구의 역동성을 보여
줄
수 있다”고 ... ...
노벨상 수상자와 함께 나만의 열정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봤는데….”강연 10분 전, 학생들이 강연 내용이 적힌 책자를 보고 있다. 형광펜으로
줄
을 치며 읽기도 하고 모르는 내용을 옆 친구에게 물어보는 모습도 눈에 띈다.“이렇게 유명한 과학자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기회는 흔치 않잖아요.”권나연 양(경기 남양주시 와부고1)은 강연이 무척 기대된다고 ... ...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크다”고 말했다. 멘토가 자신의 제자의 경쟁자라고 여겨지는 참가자에게 점수를 적게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심사위원의 점수는 탈락자를 결정하는 데 큰 영향력이 없었다. 김태원의 제자인 손진영은 1, 2, 3차전 모두 심사위원 점수가 가장 낮았지만 시청자 투표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 ...
배아
줄
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선을 보인 유도만능
줄
기세포나 지난해 발표된 직접교차분화 역시 10년쯤 지나면 ‘3세대
줄
기세포 치료’의 시대로 이어지지 않을까. 물론 질병 메커니즘을 규명하거나 신약발굴에 활용되는 영역은 이미 시작됐거나 임박해 있지만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긴다. 파울루스 교수는 “tDCS에서 나오는 전류가 뇌세포가 쉽게 흥분하는 현상을
줄
여 통증을 억제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양극으로 뉴런을 활발하게, 음극으로 차분하게파울루스 교수의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tDCS에서 나온 전류는 뇌세포의 신호를 억제하기도 한다. 뉴런의 역치 값을 낮추기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연결된 힘
줄
이 하나 붙어 있다. 손가락 3개는 이 힘
줄
하나로 움직이는 셈이다. 이 힘
줄
을 당기면 손가락이 오므라드는데, T자형 금속판이 자유롭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각 손가락은 집는 물체의 굴곡에 맞게 자연스럽게 오므라지는정도가 달라진다. 김 교수는 “저가의 로봇팔은 노약자나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연구 결과가 2007년 나왔다. 결국 우리 몸은 p53을 절묘하게 조절해 노화와 발암 사이에서
줄
타기를 해 최대 수명을 누리는 셈이다.1979년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여러 단백질 가운데 하나로 존재를 드러냈던 p53은 1989년 암 억제인자라는 실체가 밝혀진 뒤 생명과학에서 가장 유명한 분자가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