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아, 멸종위기 코모도 도마뱀을 구해줘!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철컥, 드르르~ 철컥, 웽~.”
작은
상자 크기의 로봇(25×25×25cm3)이 탁구대보다 조금
작은
경기장 위를 분주히 이동하며 파란공 사이에 놓인 빨간공을 수거한다. 로봇이 임무를 무사히 마치고 기지로 돌아오자 심판이 스톱워치를 멈춘다.“10초 66!”심판의 판독이 나오자 정규종목 고등부에 참석한 대전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사람 뇌에 발생하는 뇌파를 탐지할 수 있다.2 모니터 깜빡임컴퓨터 모니터 한 쪽에서
작은
빛이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고 깜빡인다.3 SSVEP 발생모니터의 깜빡임을 보면 ‘정상상태시각유발전위(SSVEP)’가 발생한다. 이 뇌파는 뇌파 탐지기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된다.*SSVEP : 모니터에서 3.5Hz~75Hz 주파수로 ... ...
[수학뉴스] 완벽한 피자를 만들기 위한 수학 공식이 있다?!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얻은 상수다. 피자 공식에 따르면 토핑의 비율은 피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더
작은
피자는 큰 피자보다 상대적으로 토핑을 더 두껍게 올려야 맛있는 피자를 만들 수 있다 ... ...
11화 점차 밝혀지는 10개 방의 비밀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참말을 하고 있습니까? 거짓말을 하고 있습니까?”하루의 질문에 네 명의 메비우스 공
작은
각기 미묘한 표정을 지으며 대답했다.① 우리 네 사람은 모두 거짓말을 하고 있습니다② 거짓말 하는 사람은 한 사람밖에 없습니다③ 네 사람 중 두 사람은 거짓말을 하고 있습니다④ 나는 참말을 하고 ... ...
딴짓하는 입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많이 모여 있는 예민한 입술은 사랑하는 사람과 우리를 이어준다. 외부를 향해 나 있는
작은
구멍은 어떻게 이렇게 풍성한 기능을 지니게 됐을까. 입의 진화는 우리 삶의 진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딴짓하는 입INTRO. 세상엔 어떤 입이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 ...
INTRO. 세상엔 어떤 입이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해야하는 모양이다.➋ 개미핥기혀가 특이한 동물로는 개미핥기가 있다. 이들은
작은
갈고리로 뒤덮인 기다란 혀를 이용해 개미를 붙잡아 먹는다. 혀놀림도 빨라 1분에 150번이나 움직일 수 있다.➌ 로지 립 뱃피쉬키스하고 싶은 입. 이 물고기의 빨갛고 도톰한 입술은 섹시한 여성의 입술을 떠올리게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움직이는 혀는 남성기를 상징한다. 살짝 벌린 입술 사이로 혀를 내밀어 핥는 동
작은
노골적인 유혹의 표현이다.우리는 왜 키스를 하는가촉촉하고 따뜻한 입으로 하는 애무는 손가락보다 더 정교하고 부드럽다. 연인이나 부부는 보통 입술을 맞대고 부비는 키스로 애정을 확인한다. 키스는 최근에야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우주복은 아주 특별합니다. 선외활동우주복(EMU, Extravehicular Mobility Unit)이라고 부르는데
작은
우주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EMU는 생명유지시스템과우주복으로 구성됩니다. 생명유지시스템은 우주복 안에서 사람이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산소를 공급하거나 온도를 제어합니다.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최선을 바랄 수 있고, 최악에 대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고자 하는 일을 꿈꾸고
작은
일이든 큰일이든 피하지 말고 승부를 걸어보세요. 맞서서 고생할 것이 보여도 도전을 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포기하지 않고 도전하다보면 배우는 게 있고, 성취하게 될 것이라는 게 정 파트장의 생각이다.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유전체를 다루는 천 교수의 연구는 그 중 독특하다. 미생물은 유전체가 다른 생물에 비해
작은
편이다. 하지만 미생물은 종이 많으며 그 중 대부분을 인류는 구별조차 하지 못한다. 길거리에서 흙 한 숟가락을 떠도 안에 1만 종 이상의 박테리아와 고세균이 나온다. 이를 하나하나 염기서열을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