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흑백 사진 속 색깔 찾아주는 인공지능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흑백 사진에 색을 입히는 기술을 7월 30일부터 미국에서 열린 ‘시그래프 2017’에서 발표했어요. 콘볼루션 신경망은 인간의 시신경이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을 흉내 내 이미지를 처리하는 인공신경망이에요. 교수팀은 콘볼루션 신경망이 미리 입력받은 컬러 이미지를 참고해 흑백 사진에 색을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페렐만이다. 2002년에 출판 전 논문을 수집하는 인터넷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증명을 발표했고, 국제수학연맹이 3년 동안 검증한 결과 옳은 것으로 판명이 났다. 7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가 최초로 풀리는 순간이었다. 그런데 사실 푸앵카레의 추측은 페렐만이 해결한 문제의 일부일 뿐이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자우림의 ‘17171771’ 숫자 암호와 사랑 고백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밝히며 더 의미 있는 아름다운 곡이 됐지요. 자우림은 20주년 기념으로 올해 새 앨범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번엔 또 어떤 사랑스러운 곡을 만들지, 혹은 위로가 되는 곡을 만들지 기대가 됩니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고개를 끄덕이고는 방을 나갔다.마고도 가만 있을 리 없었다. 수학경시대회 수상자가 발표되자마자 메시지를 보내왔다.“웬일이야? 네가 수학경시대회에서 입상하다니?”“무슨 일이긴. 내가 그동안 밖에도 안 나가고 공부만 했잖아. 내가 마음만 먹으면 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라고.”하림은 ... ...
- [과학뉴스] 새로운 족보를 갖게 된 공룡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런던 자연사박물관 공동 연구팀은 지금까지의 공룡 계보가 틀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74종의 공룡 화석을 457개의 해부학적 특징에 따라 분류해 이를 비교 분석했어요. 그 결과 용반목의 수각류 공룡과 조반목 공룡이 독특한 아래턱뼈와 발뼈는 물론 다른 공룡보다 작은 앞니, ... ...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처음 지사탐에 참여한 문질빈빈 팀의 전소영(고양 오마초 4) 대원은 “발대식에 참가해 발표도 듣고 포스터도 보다 보니 생물을 탐사하고 관찰하는 게 기대된다”며, “올해 첫 탐사지만 열심히 탐사해 반드시 수료하고 싶다”고 각오를 밝혔어요.# 지사탐은 대원들이 스스로 생물을 탐사하는 ... ...
- [과학뉴스] 성폭행 피해자 저항 어려운 이유, 몸이 마비된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성추행이나 성폭행을 당한 여성들은 적극적으로 대항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피해 사실을 의심 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저항하지 않은 게 아니라 못 한 것이라는 연 ... 연구 결과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스칸디나비아 산부인과학 회보’ 6월 22일자에 발표됐다.doi:10.1111/aogs.1317 ... ...
- [과학뉴스] 로마 방파제가 2000년간 끄떡없는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고대 로마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오랜 세월 유지된 비결이 밝혀졌다.미국 유타대 지질학및지구물리학과 마리 잭슨 교수팀은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가 운영하는 방 ...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 광물학’ 7월 3일자에 발표됐다.doi:10.2138/am-2017-599 ... ...
- [Focus News] 햄버거병, 햄버거는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사건처럼 10세 이하의 어린아이에게서, 여름에 자주 발생한다. 질병관리본부가 7월 1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 동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으로 치료받은 환자 443명 중 24명(5.4%)이 HUS로 발전했다. 그 중 70.8%가 9세 이하의 어린이였다.O157이라는 낯익은 이름에서 알 수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등장한 것이다.1919년 발생한 개기일식에서도 역사적인 관측이 이뤄졌다. 1915년에 발표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검증한 것이다.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에 의해 빛도 휜다. 이론이 맞다면 태양 주위의 별빛도 휘어져 위치가 달라 보여야 한다. 영국의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은 1919년 ... ...
이전3193203213223233243253263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