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기본
짜임새
밑바탕
근본
본성
배경
d라이브러리
"
바탕
"(으)로 총 3,3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혁명과 연구소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닦아 놓았다. 그러나 당시 이와 같은 모임은 비공식적이고 비정기적인데다가 재정적
바탕
이 매우 빈약했다. 이런 이유를 들어 각종 모임의 회원들은 1663년 루이14세의 재상인 '콜베르'(Colbert, Jean Baptiste:1619~1683)에게 재정적 원조를 요청하였다. '콜베르' 자신도 과학의 발달과 그 응용이 프랑스의 ... ...
한국화학연구소 안전성 연구 센터 노정구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우선 기존의 신물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 제반 기술정보와 신물질 시장의 경제분석을
바탕
으로 어떤 화학물질을 합성하거나 추출하기로 결정하지요. 이 후보 신물질은 여러가지 용도, 예컨대 살충효과를 얻을 것인가 대머리의 치료에 이용할 것인가 등에 따라 가능성을 검토하게 됩니다. 이 ... ...
일본의 화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마그마 분출로 지표는 함몰되었다. 이렇게 하여 현재의 카고시마 일대 지형을 이루는
바탕
이 되었다. 지진과 일본화산과 함께 일본열도를 폭발과 파괴로 위협하고 있는 것이 지진이다.지진이란 지구내부의 암석이 어떤 원인으로 파괴되었을 때 생긴 진동이다. 지진이 일어나는 장소는 환태평양처럼 ... ...
PART1 하이테크에서의 일본의 기술력 세계제일은 시간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추측이다.미국에 기술공급하는 탄소섬유오랜전통기술을
바탕
으로 집중육성하고 있는 분야가 파인세라믹스라고 한다면, 탄생한지가 4반세기가 넘지 않은 분야로 일본이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탄소섬유이다.철보다는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이른바 '수퍼섬유 ... ...
기술진흥우수경영인 금탑산업훈장수상 김상홍 삼양사 회장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아침마다 거르지않고 약 20분간씩 하는 맨손체조로 건강을 관리한다는 김회장은 인화를
바탕
으로한 인력관리 및 기술개발을 가장 중요한 경영목표로 삼고 있음을 거듭 강조했다 ... ...
87년도 과학계 전망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과학계의 1987년은 정보산업 유전공학 신소재 정밀화학등 첨단분야가 새기술과 제품을 앞다퉈 내놓아 2000년대의 길목에 들어설
바탕
을 다지는 한해가 될것이다. ...
PART2 비약적인 기술혁신의 비결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확신하기 때문이다.20년만에 세계 제패한 자동차산업이상에서 살펴본 일본의 기술력의
바탕
을 이루는 요인들이, 한 나라의 공업력을 재는 척도라고 하는 자동차산업에 어떻게 작용했는가를 알아보자.일본은 1957년 도요다 자동차를 미국에 처음 수출했다. 결과는 고전의 연속이었다. 아직 고속도로가 ... ...
PART1 DNA의 구조와 복제 생명을 지배하는 이중나선구조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활성을 갖고 있지는 않는다. 구체적인 생명활동의 주역은 단백질이다. DNA의 유전정보를
바탕
으로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알아보자.앞에서 우리는 생물체를 '집'에 비유할때 DNA는 '설계도'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았다. 즉 단백질이라는 건축재료를 어떻게 만들며, 그것을 가지고 어떤 모양의 집을 ... ...
최첨단 신소재 개발에 도전하는 쌍용 중앙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개발투자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날이 갈수록 기술이 축적되어 갔고 최근에는 이를
바탕
으로 신소재 개발에 뛰어들게 되었지요.실로 놀라운 진전이라 하지 않을 수 없읍니다. 그리고 이 분야는 인류가 석기시대에서 철기시대를 지나 바야흐로 신소재 시대를 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너무나 중요한 ... ...
첨단기술사회의 성격화 대응 정보를 처리하고 통제하는 능력 길러야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지녀야 할 기초소양으로 인식되어 있듯이, 새로운 정보와 사회에서는 과학적 능력을
바탕
으로 한 폭넓은 적응력을 지니고 있지 않으면 문화인이 될 수 없는 것이다. 다가오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한 사람 한 사람이 새로운 문화의 창조자이기 때문이다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