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생긴다. 알을 낳을 수 있는 산란지로 사용되기도 한다. 나무에서 떨어진 잎이 썩으면 영양
물질
이 풍부해져 플랑크톤과 새우 등 어패류의 먹이가 되는 작은 생물도 풍성해진다. 그러다 보니 맹그로브는 어부를 부양하는 ‘어부림(魚付林)’으로 불리기도 한다.[바나콘 섬에 살고 있는 아이들.][바나콘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3차원 구조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면
물질
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까지 분석할 수 있다.생체 현상이 눈앞에 생생하게 펼쳐진다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기억상실증이 반전을 위한 소재로 자주 활용된다. 너무 진부하다는 의견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막는다.그라우팅 소재로 보통 시멘트를 쓴다. 최근에는 ‘에폭시우레탄’이라는 화학
물질
도 사용된다. 시멘트를 사용하면 굳는 데 시간이 다소 걸리지만 강도는 높다. 우레탄은 빨리 굳지만 내구성이 약하다. 따라서 암석의 재질과 지반 상태에 따라 시멘트와 에폭시우레탄을 선택하면 된다.방수는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유도한 셈이다.장간막림프절에서 성숙한 T세포들은 혈관을 타고 온 몸으로 퍼져 이
물질
이 침투하거나 염증반응이 일어난 부위에 들어가 작용한다. 따라서 아토피나 염증성장질환 같은 과민 면역반응으로 인한 염증 부위에 조절T세포가 작용하면 염증반응이 억제되면서 증상이 완화되는 것이다.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WMAP와 은하 적색편이 측정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주에서
물질
은 거리에 비례한다. 이는
물질
이 우주에 걸쳐 균일하게 차 있다는 뜻이다. 관측 범위를 넘어서도 같은 양상을 보일 수 있다. 이형목 교수는 “지평선(호라이즌) 부근에 있는 우주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는 않지만, 그 너머의 우주도 ... ...
화마 잡는 골목대장, 골목소방차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 팀장은 “실험 결과 노즐 지름 1.9mm, 길이 17cm에서 이산화탄소, 물과 연마제가 섞인
물질
모두 시원하게 분사되는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개발한 기술 모두를 12인승 승합차 안에 담았다. 야간 화재진압을 위해 지붕에 서치라이트를 설치하고 발광다이오드(LED)로 된 전광판을 달아 ‘화재진압’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뭉치기 시작할 때 별이 탄생한다. 원시별 주변에 원반이 생기고 양극 쪽으로 일부
물질
이 뿜어져 나간다. 이 상상도는 허트 박사의 작품이다.][오렌지상자에 담긴 ‘나노 축구공’ 스피처우주망원경으로 우주공간에서 최초로 발견한 고체 상태의 풀러렌 상상도. 탄소 60개가 축구공 모양으로 연결된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아황산가스에 강한 페튜니아를 만들었다. 특정 화학
물질
을 잘 흡수하려면 우선 그 화학
물질
에 내성이 있어야 한다. 이 연구사는 특허를 낸 새 페튜니아가 “기능성 식물체를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설명했다. 완벽한 식물을 만들기 위한 도전향기가 진한 서양 난을 만들 순 없을까. 동양 난은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987년 미국 이스트먼코닥사의 중국인 과학자 칭 W. 탕이 개발했다. 저분자 유기
물질
박막에 전류를 흘려주자 LED처럼 밝은 초록빛을 내는 것을 발견했다. 현재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평판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이다. LCD는 액정 소자가 촘촘히 배열된 패널을 이용해 화면을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확인하기 위해 쥐의 뇌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유산균을 먹인 쥐의 뇌에서 신경전달
물질
인 GABA를 만들어내는 유전자의 mRNA가 더 많이 활성화됐다. GABA가 적을수록 우울하고 축 처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맥 마스터대의 피터 맥린 박사의 연구팀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장염을 앓고 있는 쥐에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