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d라이브러리
"
기준
"(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새로운
기준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아스피린과 같은 해열제를 먹음으로써
기준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한편 뇌종양이나 뇌손상으로 체온조절중추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체온조절이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 마라토너가 훈련 시 땀복 입는 까닭이 외에도 더운 환경에서 심한 ... ...
광고냐 쓰레기냐 스팸메일 비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알아내는 방법이다.즉 e메일 주소에 반드시 들어가는 ‘골뱅이’(@)의 전후 단어를
기준
으로 검색해, 자동으로 e메일 주소를 추출하는 것이다.문제는 e메일 주소를 거래하는 사람들을 통해 개인의 신상정보가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개인의 정보를 사고파는 이런 행위는 불법 성인물이나 불법 ... ...
구장산술 (九章算術)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다룬다(38문제).■ 2장 - 속미(粟米) : 속미란 껍질을 벗기기 전의 조를 말한다. 조를
기준
으로 한 곡물 교환 문제를 다룬다(46문제).■ 3장 - 쇠분(衰分) : 쇠분이란 차등을 두면서 비례적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고저의 차이가 있는 급료나 조세 계산법을 다룬다(20문제).■ 4장 - 소광(少廣) : 넓이와 부피 ... ...
2. 영양만점 자연식 소화편안 조리식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고향의 맛을 그리워하는 이유를 여기서 찾을 수 있다.결국 자연식과 가공·가열식의 선택
기준
은 자신의 건강 문제와 생활 환경에 따라 스스로 결정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소화 흡수율이 낮은 사람이 생식의 붐을 좇아 무턱대고 생식만 고집한다면 어떤결과가 나타날까. 건강이 개선되기 보다는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이미 투자에 나섰다. 현재 다양한 재이용기술을 개발해 처리단계에 따라 여러 수질
기준
을 만족시키는 물을 생산하고 있다.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물에서부터, 상수원수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깨끗한 물까지 만들어 공급하는 것이다.사실 우리나라의 물 재이용기술은 ... ...
전자총 세례받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내부에 고전압을 쏘아주는 방법이 쓰인다.앞으로 EMI, EMS 테스트에서 요구하는 전자파
기준
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점점 더 많은 전자제품이 우리 생활을 차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PC를 비롯한 각종 정보통신기기의 초고속화, 초집적화가 이뤄질 것이기 때문이다. CPU의 속도가 점점 높아지면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많이 주고, 보름달일수록 노출을 줄여야 한다(표).일반사진용 필름(필름감도ISO 100)을
기준
으로 구경비(초점거리/구경)와 달 모양에 따른 표준 노출시간을 초로 나타냈다. 이를 참고로 사용해 주어진 노출에서 전후로 한두 단계씩 찍어보면 적정 노출을 찾을 수 있다.달을 촬영한 다음 어떻게 달의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일종의 장면 스케치로, 영화의 경우 촬영대본과 같다. 이후의 모든 작업은 스토리보드를
기준
으로 이뤄지므로 작품 제작의 설계도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여러 고증된 역사 자료를 통해 문화재가 갖는 특성을 바탕으로 작업한다. 예를 들어 석굴암의 경우 동이 튼 후 처음 빛이 비추는 곳이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적용하기 시작하면서 CPU가 내장된 본격적인 스마트카드의 시대가 열렸다. 2000년을
기준
으로 전세계적으로 스마트카드가 보편화되고 있는 분위기이며, 아시아의 경우에도 1990년대 들어 매년 2배씩 성장하면서 주요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접촉식 카드부터 살펴보자. 접촉식 카드의 대표적인 사례는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간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발생해 이를 구분하는
기준
이 마련되기도 했다. 당시 설정된
기준
은 1백m(0.1μm)였다. 이보다 큰 경우 MEMS이고, 작은 경우가 나노기술에 속한다.하지만 크기만으로 MEMS와 나노기술을 분류하는 것은 아무래도 여전히 애매하다. 그리고 또다른 구분법을 얘기하는 과학자도 있다.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