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우주 탄생 초기에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만들어진 이유를 설명할 수 없거든요.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큰 별에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 경우, 또는 빽빽하게 모여 있던 별들이 뭉치는 경우 초거대 질량 블랙홀을 만든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J0313-1806은 두 경우보다 더 빨리 만들어졌거든요. 연구에 ... ...
- [가상인터뷰] 전기뱀장어, 함께 모여 사냥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금은 아마존 정글 탐험 중!작은 웅덩이 한쪽에서 전기뱀장어 수십 마리와 마주쳤어.이렇게 바글바글 모여서 뭘 하는 걸까? 모임이 아니라 사냥 중이라고요?! 소개를 부탁해!반가워! 우리는 전기뱀장어야.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 오리노코강 유역의 늪 바닥에 살면서 다른 물고기나 작은 포유 ... ...
- [기획] 2021 소미더뭐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원해!Part3. [2021 소미더뭐니] 우승자에 소가 없다?! ★도움 고응규(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농업연구관), 존 오틀리(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교수), 먀오 더창(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연구원), 금준호(씨위드 대표), 김수지(씨위드 연구원), 김기우(다나그린 대표), 박종봉 ...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트림으로 매해 1억t(톤)이 넘는 메탄가스를 배출해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는 소의 메탄가스 배출을 80% 이상 줄일 수 있는 해조류 사료를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붉은 해초인 ‘바다고리풀’을 소의 사료에 섞었어요. 그 결과 소가 사료를 ... ...
- [헷갈린 과학] 이 정도면 쌍둥이? 시베리안 허스키 vs 알래스칸 맬러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시베리안 허스키 하얀 눈 위에서 썰매를 끌고 힘차게 달리는 개를 떠올려 보세요. 가장 먼저 ‘시베리안 허스키’가 생각나진 않았나요? 시베리아에서 썰매를 끌기위해 개량된 시베리안 허스키는 몸무게가 20~25kg이고, 몸 높이가 50~60cm인 중형견이에요. 시베리아에 사는 부족들을 도와 양식을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세계에서 제일 강한 구슬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인도한 과학 영상을 소개할게.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어과동 TV’에도 매일 재밌는 과학 영상이 업데이트되고 있으니 많이 놀러와 줘! ‘네오디뮴 자석’은 현재 지구상에서 사용되는 자석 중 가장 강력해요. 희토류 금속인 ‘네오디뮴’에 붕소와 철을 섞어 만들며, 헤드폰과 스피커 등에 ... ...
- [디지털리터러시] 스마트폰의 조상님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세상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스마트폰은 우리 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존재가 됐지요. 과학 기술의 발전 속도를 보면 가까운 미래에는 스마트폰 기능들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발전할 걸로 예상돼요. 미래의 스마트폰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다음 화에서 확인하세요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것은 ‘함수’ ★ 도움김하영(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 강명주(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이동헌(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 김태수(네오사피엔스 대표), 이재윤((주)프로키언 대표 ... ...
- [기획] 엉뚱한 증명의 귀재,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시도를 하며 ‘긱블’을 비롯한 많은 과학 유튜브 채널을 즐겨봤습니다. 이를 보고 ‘과학을 재미있게 다루는 채널은 많은데 왜 수학은 없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게 됐죠. 그렇게 2019년 1월 4일 ‘1+1=1임을 증명하는 영상’을 시작으로 로지컬 채널을 운영하게 됐습니다. Q 엉뚱한(?) 콘텐츠를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디지털 갤러리가 활성화되면서 수만 점의 고해상도 예술 작품이 공개됐다. 작품을 데이터과학으로 분석할 가능성이 열렸다.정하웅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하려면 적어도 1만 개 이상의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다량의 미술 작품 데이터는 시대 흐름에 ... ...
이전3193203213223233243253263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