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1건 검색되었습니다.
친환경 미래車 에너지효율 올릴 원천기술 찾았다
2015.04.13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를 진행해 왔지만, 균열의 크기가 불과 수십 nm(
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정도로 미세해 해결 방법을 찾기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GDC에 여러 물질을 섞어가며 실험한 결과 코발트를 이온 광물과 합성했을 때 전극의 불순물이 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포장 뜯지 않고 김치 숙성상태 판별… 농부대신 김매는 ‘제초로봇’도 개발
동아일보
l
2015.04.09
지능형포장연구센터에서 개발했다. 지능형 포장은 정보기술(IT)과 생명공학기술(BT),
나노
기술(NT) 등 첨단기술이 합친 차세대 융복합 기술이다. 올해 전 세계의 지능형 포장 시장 규모는 66억 달러(약 7조194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교수는 “1인 가구 급증과 인구 노령화 등으로 포장식품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결과 거미줄보다도 큰 값이 나왔다. 연구자들은 지름이 수십
나노
미터에 불과한 침철석
나노
섬유가 고밀도로 박혀 있는 게 이처럼 높은 강도를 내는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할 거리가 없어 걱정일 때는 학술지를 뒤적일 게 아니라 야외로 나가 동식물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게 나을 거라는 ... ...
서울~대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배터리 나온다
2015.04.06
환경을 위해 전기자동차를 구입하려고 해도 배터리가 오래가지 않아 고민이 되기 마련이다. 현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는 충전 없이 130㎞ 정도 달릴 수 있다 ... 연구팀은 현재 이와 관련된 특허를 출원했으며, 이 연구 성과는
나노
분야 권위지인 ‘
나노
레터스’ 3월 3일자에 실렸다. ... ...
암덩어리 중심까지 약물 전달…
나노
기술로 항암제 효과 높였다
2015.04.06
항암제가 잘 듣지 않는 까닭은 종양의 중심부까지 약물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항암제의 단점을 해결해 종양 전체에 약물이 퍼 ... 그래픽. 종양 전역에 약물이 골고루 전달되게 해 항암효과를 높이는 새 종양투과 약물전달
나노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KAIST ... ...
빛으로 수소 만드는 효율 7배 높였다
2015.04.06
원자가 탄소
나노
소재와 강하게 결합하면서 핵-껍질 구조가 형성된다. 표면을 둘러싼 탄소
나노
소재는 형성된 전자와 정공이 유실되지 않도록 도움을 준다. 또 전하 이동 속도를 향상시켜 광촉매 효율을 높여준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 ...
내 면역세포로 암 치료, 어디까지 왔나
2015.04.05
달라지면서 생체 내부 상태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돕는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나노
센서가 기존의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보다 수백 만 배 정밀하게 생체 내부를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DNA 사촌 ‘PNA’로 둘둘 말리는 디스플레이 개발
2015.04.05
Acid)’를 이용해 스스로 조립하는 한 겹짜리 디스플레이 제작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나노
테크놀로지’ 2일자에 발표했다. 요즘 휴대전화 액정은 외부 충격에서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맨 위층에 강화유리를 사용한다. 금속처럼 딱딱한 물질을 여러 층으로 쌓기 때문에 휘어지긴 해도 둘둘 ... ...
세계 최고 효율 열전(熱電) 소재 개발
2015.04.03
열로 전기를 생산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김성웅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
물리연구단 연구위원(사진 가운데·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은 기존보다 2배 가까이 효율이 높은 새로운 열전 소재를 개발해 학술지 ‘사이언스’ 3일 자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는 성균관대와 삼성전자 ... ...
버려지는 실리콘이 전극 소재로 환골탈태!
2015.03.30
게다가 폐기물에는 제품의 재료가 될 수 있는 순도 99.99999999% 이상의 초고순도 실리콘
나노
입자도 30%나 섞여 있다. 최근 장희동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팀은 김한수 한양대 교수와 지아싱 후앙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와 공동으로 이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사이언티픽 리포트’ 3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