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프랙탈 의학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요동치는 심장 고동소리와 온몸을 종일 도는 피, 그리고 멀리서도 나를 한눈에 알아보게 하는 걸음걸이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힌트를 주자면 ‘이것’은 하늘을 향해 쭉 ... 의학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Part 2. 내 안에 펼쳐
진
나만의 우주Part 3.
진
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인체 곳곳에 숨어 있는 프랙탈 구조는 자연과 닮았다. 온몸에 뻗어 있는 혈관은 하천을, 폐를 이루는 폐포는 포도송이를 닮았다. 자연에서 프랙탈은 대개 하천처럼 물질을 ... 의학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Part 2. 내 안에 펼쳐
진
나만의 우주Part 3.
진
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영장류의 도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인류의 석기시대를 엿볼 수 있다. 인류의
진
화사를 새롭게 조망할 기회도 얻게 됐다. 전세계 영장류들을 보호해야 할 또 하나의 이유가 추가된 셈이다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양을 파악했다. 그 결과 양자점을 처리한 엑소좀에서 5개의 miRNA가 비정상적으로 많아
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밀 분석한 결과 최대 60배까지 많이 들어 있는 miRNA도 있었다.단백질도 비 슷했다. 양자점을 처리한 것보다 그렇지 않은 세포의 엑소좀에서 더 많이 발현된 단백질을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킵 손 교수는 “이처럼 위대한 과학적 탐구가 인간 사고에만 기초해 성공적으로 이뤄
진
다른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한다. 복잡한 우주를 궁극적으로 간결하고 우아한 법칙으로 해석하는 인간 정신의 놀라운 능력을 실컷 향유해보자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그 결과 데스밸리의 땅은 겨울철에 얼었다가 살짝 녹아
진
흙이 되는데, 그 때 돌이
진
흙위를 1분에 5m정도 움직인다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이때 돌은 마치 얼음뗏목을 타고 움직이는 듯 보였어요. 그래서 사람들은 이 돌을 ‘항해하는 돌’이라고 부르고 있답니다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액화수지와 조개껍데기를 넣고 10분 정도 기다리자, 액화수지가 딱딱하게 굳으면서 멋
진
호박화석이 만들어졌어요! 호박화석 속의 생물이 썩지 않고 그대로이듯 액화수지 속의 조개껍데기도 반짝반짝 정말 예쁜 모습이었답니다.실험에 참가한 신지민 친구는 “액체가 금세 보석처럼 굳어지는 게 ...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이전에는 100년 동안 1만 종 중 2종이 사라졌던 반면, 1500년 이후에는 그 속도가 8~100배 빨라
진
거예요.게다가 1500년 이후 멸종된 척추동물 중 1900년 이후에 멸종된 것이 60%나 차지할 정도로 지난 100년 동안 멸종 속도가 급격히 빨라졌답니다. 세바요스 박사팀에 따르면 이렇게 멸종 속도가 빨라지는 건 ... ...
[과학뉴스] 알아서 척척~ 학습하는 손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학습하는 로봇을 개발해 발표했어요.연구팀은 24개의 관절과 40개의 구동장치로 이뤄
진
손 로봇, 그리고 이 로봇을 조종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만들었어요. 이 프로그램은 손 로봇이 움직이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해 정확하게 움직이도록 수정해 줘요. 즉, 올바른 움직임을 스스로 학습할 수 ... ...
[과학뉴스] 눈에 보이지 않는 초소형 기계장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pNIPAM이 주변의 물을 흡수해 크기가 급격히 커지며 뭉쳐
진
금 입자들을 밀쳐낸답니다(사
진
❷). 즉, 32℃ 근처의 온도에서 퍼졌다 모였다를 반복하며 움직이는 거예요.바움버그 교수는 “이 장치는 앞으로 생체에서 작동하는 초소형 의료용 로봇을 만드는 데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