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수 있다고? 비밀은 바로 고래의 똥에 들어 있는 풍부한 철분 에 있어요. 호주 남극환경
연구소
의 해양생물학자 스티븐 니콜 박사는 남극 바다에 사는 네 종의 수염 고래류 27마리의 대변을 채취해 분석해 보았어요. 그 결과 고래의 대변 속에는 같은 양의 바닷물보다 1000배나 많은 양의 철분이 들어 ... ...
변신의 달인. 비타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못 하지만 따로 섭취한 쥐는 모두 살았다는 내용이야.한편 2009년 3월, 캐나다 스크립스
연구소
의 린다 커티스 박사 연구팀은 비타민 C와 같은 항산화제가 동맥경화를 막아 주고, 나아가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유명한 의학 저널인 ‘뉴잉글랜드의학저널’에 발표하기도 했어.죄수마저 ... ...
기상천외 드라큘라백작의 모기 퇴치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내뿜는 이산화탄소와 땀냄새 등이 암컷 모기를 더 강하게 유혹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
연구소
에서 여러 초음파 모기 퇴치 장치들을 실험한 결과, 장치를 사용할 때나 그렇지 않을 때나 사람에게 접근하는 모기 숫자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이 확인 됐다.*초음파 : 1초에 한 번 진동하는 것을 1헤르츠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마음껏 합성할 수 있어 현재 대사공학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크레이그벤터
연구소
의 대니얼 깁슨 박사는 “5~10년이면 합성세포를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지금은 미생물이 만들지 못하는 화합물도 합성세포를 통해 만들 수 있다.“2020년 고분자화합물 90% 미생물이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 있다”고 말했다. 10여 년 전부터 학계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통섭’이
연구소
안에서 실현되고 있다는 게 월터 실장의 설명이다. 그는 “새로운 이론이나 아이디어는 다른 학문에 대한 호기심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며 “결국 과거에 관심을 갖는 것, 인문학의 중요성을 깨닫는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최근 게놈분석능력이 양으로는 미국을 넘어섰다는 평가다.한국은 서울대 유전체의학
연구소
가 아시아인의 게놈을 분석하는 국제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테라젠은 게놈데이터를 분석해 맞춤의학 정보를 알려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엔 삼성의료원도 맞춤의학에 시장에 뛰어 ... ...
자기치료물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시작했지만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2008년 프랑스 국립과학
연구소
(NRSC)의 루드빅 리블러 박사가 하이드로겔 자기치료물질과 같은 원리로 복구되는 고무를 개발해 발표했다. 미국 서던미시시피대 마렉 어번 교수도 2009년 게 껍데기에 있는 키토산을 이용한 자기치료 코팅제를 ... ...
인간 발전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실제로 이런 인간 발전 기술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유럽에서 가장 큰 나노기술
연구소
인 IMEC는 2009년 몸에서나는 열과 주변 빛에 반응해 전기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뇌파도 시스템’을 개발했다. 헤드폰처럼 생긴 이 장치는 머리에 쓰기만 하면 사람의 관자놀이에서 발산되는 열이나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더 세분화한 팔상체질론을 바탕으로 맞춤의학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차의과학대 암
연구소
김성진 소장은 “자신의 ‘네이처(본성)’를 이해해야 몸에 맞는 음식이나 약물을 취해 건강해질 수 있다”며 “한의학의 체질과 현대과학의 개인게놈은 서로 만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미국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받았다. 그 뒤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대 의대에서 10여 년간 봉직한 뒤 1984년 미국 솔크
연구소
로 옮겼다. 르베이 박사는 오랫동안 동물의 시각피질이 어떻게 시각정보를 처리하는가를 연구해왔다. 그런데 우연히 논문 한 편을 보고 기발한 생각이 떠올라 혼자서 ‘취미 프로젝트(hobby project)’를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