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생생한 현장 경험을 문답식으로 알기 쉽게 풀이했다. 당연하겠지만 이 기사는 미세증거
물
이라는 주제에 가장 근접해 있는 국과수 연구원을 직접 취재해 살아 있는 현장의 이야기가 됐다.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연구원이 전해준 다양한 정보를 정리한 노력을 칭찬하고 싶다. 체험하고 느끼고, ... ...
우산 장수 '오날도 비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업새블라는 다시 1848년 스코틀랜드로 도망쳤다. 그 곳에는 절대온도를 만들어낸
물
리학자 캘빈이 살고 있었다. 업새블라는 역시 캘빈이 하는 연구를 방해하고 있었다.“새로운 온도를 만들었어요. 기체 부피가 0이 되는 극한 온도를 알아보니 영하 273℃였어요. 그러니까 영하 273℃를 새로운 온도의 ...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거리를 어떻게 다시 가깝게 할 것인가! 소원해진 남녀 사이를 다시 가깝게 해주는 덴 선
물
만한 게 없겠죠? 밥은 백금 반지를 준비합니다. 그런데 영화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디테일입니다. 그래서 밥의 마음을 전달할 백금 결정이 형성되는 과정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디테일하게 촬영했습니다. 백금 ... ...
GIST 수시 전형 합격생 인터뷰 - 8개월에 걸친 탐구 열정이 비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느낌을 받은 때도 있었다. 하지만 이런 습관과 노력으로 격차를 많이 좁혀 2학년 때
물
리경시대회 수상도 했다.“경시대회는 상 받으려고 준비해서 나간 건 아니었어요. 그저 궁금한 것 해결하려고 이것저것 찾으면서 공부한 것이 쌓였죠. 그래서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실력이 늘었다는 걸 ... ...
수학으로 더욱 화려하게! 분수 디자이너 류경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하는 시설
물
은 아니다. 없다고 해서 불편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더운 여름 시원한
물
줄기로, 삭막한 공간에 화려한 볼거리로 사람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는 하나의 공연 예술임에 틀림없다. 앞으로 분수가 더욱 화려하게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받는 달과 태양의 중력이 조석력이다. 조석력이 강한 행성이나 위성에서는 행성 내부의
물
질을 움직여 마찰열을 일으킬 수 있다. 마치 빨대로 스무디를 저으면 얼음 알갱이끼리 부딪혀 내부 온도가 올라가 녹는 것과 같은 원리다. 실제로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는 근처의 형제 위성 디오네의 조석력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섬모가 달린 면과 고리가 달린 반대쪽 면으로 이뤄져 있다. 서로 대면 섬모와 고리가 맞
물
려 매우 강력하게 붙는다. 생체모방 벨크로를 탄생케 한 첫번째 ‘스승’은 게코도마뱀이다. 게코도마뱀은 발바닥에 50~10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섬모가 촘촘히 나 있다. 이는 도마뱀이 벽이나 천장에 거꾸로 ... ...
마이클 펠프스 팔 동작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올림픽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마이클 펠프스와 박태환 선수의 대결에 많은 이들이 흥분하고 있다. 세계적인 수영선수들은
물
속에 ...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을 이끈 미탈 교수는 “스컬링 동작을 과하게 하면 양력과
물
을 잡아당기는 힘을 오히려 모두 감소시킨다”고 설명했다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슥슥~, 민첩하게 피한다니깐.
물
고기가 만들어내는
물
결파장을 탐지해서 수면 아래
물
고기까지 잡는 사냥꾼 기질도 있고 말이야.그러니 블랙위도우가 아무리 조용히 다가와도 감지할 수 있고 아무리 빠르게 공격해도 피하는 건 기본이요, 더 빠르게 공격도 가능하단 거지.어때? 이 정도면 우리가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늘어가는 추세다.저장강박증도 결국 대뇌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결과다. 단순히 자신의
물
건을 애지중지하며 아끼고 버리지 못하고 모아놓는 것까지 비정상은 아니다. 하지만 정도를 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저장강박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