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반드시 나쁜 영향만을 끼치지 않는다. 돌연변이의 결과에 따라서는 환경에 좀더 유리한
기능
을 가진 DNA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만년의 진화과정을 통해 유익한 돌연변이가 계속 쌓여 현재의 인류로 진화했다는 주장이다.또한 어떤 연구자는 적은 양의 방사선에 쏘일 경우 오히려 번식력의 ... ...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그런 뒤 이 단백질의 구조를 컴퓨터 화면 위로 옮겼다. 이때부터 질환단백질인 C-ABL의
기능
을 억제하기 위한 가상약물 디자인이 시작된다. 수많은 시도와 연구 끝에 C-ABL와 결합해 타이로신 복합체를 만드는 ATP 대신, 이 자리에 꼭 들어맞는 약물을 개발했다. 바로 글리벡이다.하지만 이 결과는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설치한 것이다. 이들 안테나가 복합적으로 작동해 지름 36km의 거대한 안테나와 같은
기능
을 발휘한다.들어오는 빛 초점에 모으는 포물면이제 잠깐 생각해보자. 망원경의 접시는 어떤 모양으로 생겼을까. 왜 망원경을 한개로 크게 만들지 않고 여러개로 작게 만들어 복합적으로 작동하게 했을까.우선 ... ...
10년의 제품 수명 2주만에 테스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기름칠만 해주면 지금도 별 고장 없이 여전히 작동된다. 요즘 나오는 미싱은 수십가지
기능
을 갖는데, 그래서 새로 장만하고 싶은 생각이 들지만, 그렇다고 어머니의 미싱을 버리기엔 너무 아깝다.제품의 수명이 너무 짧으면 더 문제가 되겠지만, 너무 긴 것도 소비자에게 좋을 일만은 아니다.물론 ... ...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됐다. 메마른 하천을 되살리기 위한 기술개발은 시급한 과제로서, 하천의 기본적인
기능
을 유지할 수 있는 하천유지용수의 확보기술 개발은 필수적인 요소다. 하천수의 부족과 수질오염 문제는 자치단체 간에 분쟁이 발생하는 등 중요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앞으로 물의 이용을 둘러싸고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평균체온은 약 33℃에 불과하다.또 효소는 자신의 세부구조를 약간만 변화시키면
기능
은 같으면서 최적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효소는 구조변경을 통해 쉽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효소들은 체온에 맞춰 각자가 적응한 것이지 효소활동의 최적조건을 위해 체온이 결정된 것은 ... ...
광고냐 쓰레기냐 스팸메일 비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웹메일에서 제공하는 메뉴 중에는 보낸 사람의 메일 주소 옆에 수신거부
기능
이 있다. 이
기능
을 이용해 보낸 사람의 주소를 차단함으로써 다음부터는 자신에게 스팸메일이 수신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아웃룩 익스프레스나 넷스케이프 메신저의 경우에는 버전에 관계없이 도구를 살펴보면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넘어야 받을 수 있었다. 이만홍씨는 물의 대류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국내 센서의
기능
이 외국 제품보다 떨어지는 것도 과학사진의 장애물이었다. 과학사진을 찍을 때는 소리 센서, 적외선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가 자주 동원된다.예를 들어 물방울이 수면 위에 떨어지는 사진을 찍을 때는 소리 ...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정도로 줄어든다.이처럼 낙타가 탈수됐을 때 일간변동이 큰 이유는 무엇일까. 체온조절
기능
을 상실했기 때문일까. 그렇지 않다. 체온을 증가시켜 환경온도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피부나 호흡으로부터 일어나는 수분손실로 인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이처럼 낙타는 몸에 물이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거의 완성돼 가는 현시점에서 생명과학자들 사이에서는 포스트 게놈시대의 유전체
기능
연구가 화두가 되고 있다. 정부도 과학기술부의 21세기 프론티어 사업을 비롯한 포스트게놈프로젝트에 연간 수백억원 이상을 지원하고 있다.반면 유전체의 크기가 작아 분자생물학의 초기인 1970년대에 각광을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